스페셜
"이외"(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환경 파괴가 불러온 신종 질병2023.07.11
- 독감, 최근의 코로나19에 이르기까지 감염병은 수시로 인류를 공포에 몰아넣곤 했다. 이외에도 두창, 발진티푸스, 한센병, 결핵 등 다양한 감염병이 인류 역사에서 수시로 인류를 괴롭혔지만 위생상태 개선, 백신 개발, 영양상태의 호전은 감염병 예방에 큰 도움이 되었고 치료약의 개발은 일단 병이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시들해지는 과학영재학교 열풍2023.06.20
- 해줘야 한다는 것이 영재교육진흥법의 입법 취지다. 전국에 8개의 ‘영재학교’ 이외에도 340개의 ‘영재교육원’과 1118개의 ‘영재학급’을 운영하고 있다. 20개 ‘과학고등학교’까지 합하면 무려 1486개의 영재교육기관이 있다. 그마저도 2013년 3011개까지 늘어났다가 지난 10년 사이에 빠르게 ...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2023.05.26
-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물을 마실 때의 맛이나 느낌에 반응하는 것 이외에도 탈수 이후 몸 속에 수분이 공급되어 수분이 충족되는 느낌에 의해서도 도파민 분비가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분충족감이 도파민 분비를 유도한다면 탈수 상태에는 오히려 도파민 분비가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해야2023.05.23
- 일은 매우 위험한 일이다. 실내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하는 가습기에는 깨끗한 물 이외에는 절대 아무것도 넣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마시는 물로 사용하는 생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소 성분이 남아있는 수돗물을 사용하는 것도 피하는 것이 좋다. 염소 성분이 우리의 호흡기에 ... ...
- [과학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4.17
- 국가별 상황에 따라 다양한 버전의 인증서를 요구하고 있다. KERI는 기존 제품인증서 이외 검사인증서까지 발행할 수 있는 자격 획득을 추진했고 ACCREDIA의 엄격한 심사를 통과해 최근 공인검사기관으로 인정받았다. 검사 대상 제품은 고전압 개폐장치류 등 6가지 분야다. IEC 62271-100 등 73개 표준에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엉터리 정보 경계해야2023.03.07
- 안전 때문이지 다른 나라 국민의 안전 때문이 아니다. 오염수에 ‘방사성 물질’ 이외에도 ‘부식성 물질’과 플루토늄과 같은 ‘독극성 물질’이 들어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라는 지적도 엉터리다. 저장탱크에서 녹아 나오는 ‘녹물’이 문제라면 철제 파이프를 통해서 공급되는 수돗물도 ...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2023.02.24
- 그렇다면 우리는 앞으로 비만과 당뇨를 치료하기 위해 식이요법이나 약물을 활용하는 것 이외에도 장-해마 연결망의 조절에 초점을 맞춰 새로운 치료 기술들을 고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단위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 ...
-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2023.02.09
- 방지 공사와 산림조성 등 산사태와 홍수를 방지하기 위한 ‘치산치수사업’을 강조했다. 이외에 산림복구전투에 돌입하면서 중앙 정부 조직 중 하나로 ‘산림총국’을 신설했고, 산림자원관리정보체계 도입, 김일성대학내 산림과학부 신설, 전국 180여 개 양묘장 건설 등을 추진했다. 또한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헬리코박터가 한세기 늦게 알려진 이유2023.01.17
- 누가 헬리코박터균을 최초로 발견했는가를 판정하고자 할 때 후보로 등장하곤 한다. 이외에도 많은 학자들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위에서 세균을 발견했다는 주장을 했지만 1980년대가 시작될 때까지 강산성 위액이 분비되는 위에서 세균이 생존한다는 것은 의학의 진리에 맞지 않았다. 그렇다 ...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2022.12.30
- 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결국 운동 효과의 분자적 정체를 파악하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미국 국립보건원(NIH)은 'MoTrPAC(Molecular Transducers of Physical Activity Consortium)'이라는 프로그램을 2015년부터 시작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미국 내 여러 연구기관들의 협력연구체계를 통해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