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스페셜
"
이중
"(으)로 총 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비침습적 뇌자극 기술이다. 연구팀은 65~88세 연령의 150명 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
맹검(double-blind)으로 수행되었다. 대상자들은 특정 질환을 앓고 있지 않는 정상적 노인들이지만 모두 노화성 기억 감퇴 또는 경도인지장애를 갖고 있었다. 고해상도 경두개 교류자극은 20분간 4일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결과를 발표하였다 (oi.org/10.1038/s41591-021-01336-3). 약 9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적
이중
맹검 임상실험을 진행한 결과 우리가 흔히 마약의 일종으로 알고 있는 엑스터시(Ecstasy)라 불리는 약물을 3회 주입 처방하고 PTSD 환자의 증상을 확인하였더니 PTSD의 주요 증상들이 크게 감소하는 것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과기 유공자 김성호 교수, 노벨상 불발된 사연
2023.05.31
tRNA의 대부라고 할 수 있다. 1955년 일찌감치 tRNA의 존재를 예측한 인물이기 때문이다. DNA
이중
나선 구조가 밝혀진 직후 과학자들의 관심은 염기서열 정보가 어떻게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어지는가를 밝히는 데로 옮겨갔다. 염기는 4가지이고 아미노산은 20가지였기 때문에 짝이 안 맞았다.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1789년에 대혁명이 일어나자 코르시카에서 군대를 지휘하기도 했다. 이로 인해 탈영과
이중
국적을 이유로 휴직처리되기도 했다. 1792년에 파리로 돌아와 혁명 후의 혼란 상태에서 왕당파의 반란을 잠재우는 공을 세웠다. 이후에 여러 직위를 거치면서 능력을 인정받기도 하고, 체포되기도 하는 등 ... ...
[표지로 읽는 과학] 오메가3와 생리 반응의 연결고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그 결과 GPR120이 세포막 내 단단한 결합 포켓과 소수성 등을 통해 불포화 지방산의
이중
결합을 특별하게 인식하고 이를 다른 신호로 변환해 전달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연구결과는 G단백질 연결 수용체를 표적으로 삼는 대사 및 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에 유용할 것"이라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항생제 내성균은 세균이 진화하는 증거
2023.02.28
노벨상을 수상한 밴팅(Frederik Banting)이고, 세 번째 최연소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가 DNA가
이중
나선 구조를 하고 있음을 발견하여 196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왓슨(1928년생)이다. 레더버그는 평생 수많은 연구업적을 남겼고, 록펠러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방학중에 그를 지도했고, 195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기능을 한다. DNA topoisomerase 발견 이후 DNA 복제시 복제를 담당하는 DNA 중합효소가
이중
나선 DNA 내에 끼어들어가기 위해 DNA 구조 변화가 필요할 때 이 효소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능과 종류가 다양함이 알려지기 시작했지만 강산이 두 번 바뀌도록 이를 DNA ligase 대신에 DNA를 연결하기 ... ...
[논문감시] 한국 저명 심장학자 논문 2건 철회..."학계 관행" 옹호 주장도
2023.02.10
제보했나”라고 댓글을 달았다. 그러자 또다른 네티즌은 “그렇다. 한국 학계에서는
이중
투고와 출판이 허용되는 경우가 있다”며 “박 교수의 잘못이 아니다. 리트랙션워치의 독자들은 이런 한국의 학문 문화를 이해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다른 네티즌은 “왜 이 저명한 심장학자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성질체 선택적 합성으로 신약 개발 속도 '업'
동아사이언스
l
2023.01.22
맨 앞의 탄소분자가 고무줄에 매달린듯 흔들리고 있다. 3개의 탄소 원자가 연속적으로
이중
결합해 만들어지는 '사이클릭 알렌'의 구조를 형상화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항산화 특성이 있어 제약에 활용되는 물질인 리소덴도르산 A를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데 활용되는 사이클릭 알렌을 표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임스 왓슨이 감추고 싶었던 유전자
2022.11.29
데이터를 공개했다.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 제공 1953년 프랜시스 크릭과 함께 DNA
이중
나선구조를 밝힌 제임스 왓슨은 1980년대 인간게놈해독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데 힘을 보탰고 2008년에는 자신의 게놈을 해독해 공개했다. 개인 게놈으로는 셀레라의 크레이그 벤터에 이어 두 번째였다. 그런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