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취업일
평일
스페셜
"
작업일
"(으)로 총 8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로봇 수술.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환자를 직접 만나지 않고 의사가 의료행위를 한다고? 세상이 발전하면 과거에 전혀 예상치 못한 일이 현실이 될 수 있다. 시험관 아기의 탄생은 생체 내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자손 번식이 생체 밖에서 실험적 방법으로 가능함을 보여 주었다. 마취제의 ... ...
[사이언스게시판] 재료연, '2023년 하반기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4.05.10
10일 한국재료연구원 관계자들이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선정패 수여식'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재료연 제공 ■ 한국재료연구원(KIMS)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주관하는 '2023년 하반기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에 선정됐다고 10일 밝혔다. 근로자 건강증진활동 우수사업장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국립과천과학관이 개최하는 과학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 홍보 포스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국립과천과학관은 27일부터 ‘인간 그 너머, 미지와 한계에 도전하는 과학기술’이란 주제로 과학소통강연 ‘선을 넘는 과학자들’을 시작한다고 21일 밝혔다. 올해 강연은 4월부터 11월까지 총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인류 화석의 아이콘 '루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7
존 거쉬 미국 시각예술가가 호미닌 '루시'를 실물 크기의 형상으로 만들었다. 사이언스 제공 오늘날 많은 인류학자는 인류의 최초 발원지로 아프리카 대륙을 꼽는다. 정설을 따르면 수백만 년 전 아프리카에 살던 영장류가 다양한 종을 아프리카 곳곳에 등장시켰다. 일부는 아프리카를 넘어 유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 후 합병증 치료에 공헌한 선구자 '파레'
2024.03.31
앙브루아즈 파레. 위키미디어 제공 ● 고대와 현대의 수술법 사이에 등장한 '외과학의 아버지' 인류는 이미 수천년 전에 인공 눈을 만들어 주거나 손상이 생긴 코를 재건해 주는 수술을 했다.(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2726,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7853 참조) 또 돌로 만든 기구로 머리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윤석열 대통령이 과학분야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대통령실에 ‘과학기술 수석’을 신설하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차관 3명을 한꺼번에 교체했다.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우주항공청의 본격적인 출범 작업도 시작하고 과학기술계의 숙원이었던 26개 출연연의 공공기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제설제’는 ‘화학무기’가 아니다
2024.01.31
눈내린 서울 시내 도로에 뿌려진 염화칼슘. 연합뉴스 제공 도로에 쌓인 눈을 치우기 위해서 소금(염화소듐)‧염화칼슘 등의 제설제를 이용하는 ‘화학전’(化學戰)에 대한 거부감이 빠르게 증폭되고 있다. 무차별적으로 살포하는 제설제가 우리의 삶을 망쳐버리는 ‘화학무기’가 되고 있다는 주 ... ...
[사이언스게시판] 지자연, 5만 년 전 흔적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이 개최 중인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 홍보물. 지자연 제공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은 내년 3월 3일까지 국내 최초 5만 년 전 운석 충돌의 흔적인 ‘합천 운석충돌구’ 특별전을 개최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특별전은 합천 운석충돌구의 형성 배경, 연구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인간을 포함한 영장류 뿐만 아니라 하등하다고 여겨지는 곤충과 벌레들도 학습도 하고 기억도 한다. 왜 이들에게도 기억력이 필요할까. 가장 쉽게 떠올릴 수 있는 이유는 생존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연합학습(associative learning)은 학습 능력을 가진 생명체가 갖고 있는 가장 ...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
2023.10.06
인들은 비노인들에 비해 빠른 상황 대처 및 판단력이 떨어지며 학습과 기억 능력도 크게 감퇴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일반적인 ‘노인’이라는 단어는 어떤 이미지인가. 주로 생물학적 ‘노화’와 연관되어 연상되므로 대부분 부정적인 편이다. 사실 노인이라는 단어 자체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