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래
앞날
관망
경관
앞길
전망
차후
스페셜
"
장래
"(으)로 총 2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의 입장으로 과학을 전달하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6.07.13
과학적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입니다. 최근 접한 한 조사에서 국내 초등학생 중
장래
희망이 과학자인 아이가 1.7%밖에 되지 않는다는 결과를 봤습니다. 저는 이 문제의 해결 열쇠를 엄마들이 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과학적 이해도가 떨어지면 아이에게 과학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불어넣어 ... ...
꿈★은 꼭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2016.03.01
pixabay 제공 심리학자 Gollwitzer와 동료들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했다(Gollwitzer et al., 2009).
장래
에 심리학자 또는 법관이 되고 싶다고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각각 심리학자와 법관이 되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노력을 할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도록 했다. 그리고 나서 한 조건의 학생들에게는 그 ... ...
['고리 1호기' 특집(2)] 에너지 자립을 향한 도전, 고리1호기의 탄생까지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10.23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가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는
장래
성을 고려한 에너지원의 필요성이다. 국내에 쓸 만한 에너지자원이 없는 상황에서 장기적으로 가장 유망한 에너지원으로 원자력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둘째는 경제성이다. 당시 발전단가는 원자력과 ... ...
“일방에서 호혜적 관계로”성공적이나 해결할 과제도 많아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23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사용후핵연료처리 방안에서 선택지가 대폭 늘어 났으며
장래
글로벌 시장이 확대될 가능성이 큰 원자력 수출 시장에서 미국과의 협력을 통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됐다. 미국의 원자력 대외 정책에서 아직 한국의 지위가 낮다는 의견도 많은데 이는 현실을 고려할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시나리오 씽킹’을 제안했다. 시나리오 씽킹이란 미래의 불확실성을 인정하고
장래
발생가능한 모든 가능성을 확인하여 복수의 시나리오를 작성한 후, 시나리오별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문제해결전략을 말한다. 시나리오 씽킹을 사용하면 현재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여 사실과 논리에만 ... ...
출연연의 새로운 역할로 연구와 산업의 선순환을 이끌겠습니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출연연에서도 적극적으로 창업에 도전해야 합니다. 민간에서 아직 사업화하지 못했거나,
장래
성이 있음에도 지속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여 당장의 사업이 어려운 기술은 출연연이 직접 창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합니다. KIST는 로봇산업, 액체수소연료산업에서 이미 창업에 뛰어들어 성과를 내기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그것들에 세금을 물릴 수 있겠지요”라고 답했다. 현재로서는 어떨지 잘 모르겠지만
장래
엄청난 활용가치가 있으리라는 사실을 예견한, 재치있는 답변이었다. 실험의 천재인 패러데이가 확인한 ‘전기와 자기는 짝을 이룬다’는 아이디어는 이론의 천재인 맥스웰(James Clerk Maxwell)이 깔끔하게 네 ... ...
미래 보건의료산업
KOITA
l
2013.08.09
일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어야 개인차를 감안한 의료행위가 가능해지며, 멀지 않은
장래
에 이 기술이 실현될 것으로 보인다. 미래를 예상하는 일은 쉽지 않다. 그러나 인간의 역사에서 미래는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변화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본고에서 소개한 내용 이외에도 신비의 영역이라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잘 보여주는 각종 기계장치의 설계도들도 실제 제작을 위한 설계도라기보다
장래
개발할 기계를 보여주는 개념도에 가까웠으며, 당대의 지식인 대부분은 이러한 설계도를 하나쯤은 갖고 있었다. 르네상스의 지식사회는 궁정의 후원으로 움직였던 탓에 후원자의 관심을 끌기 위해 실용적인 목적의 ... ...
“선택과 집중의 수월성 경쟁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1.07.05
30곳이 넘고 하버드대에는 2007년 줄기세포 관련 학과가 따로 생길 정도로 이 분야의
장래
성을 크게 보고 있다. 김 단장은 “줄기세포는 발전 가능성이 크며 우리나라가 세계적으로 앞서 있는 분야”라며 “이 분야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 바이오 선진국과의 간극을 좁힐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