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장소"(으)로 총 572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상 속 뇌과학] 노화성 기억 감퇴 되돌리는 '전기충격기'2023.10.06
-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해볼 수 있다. DLPFC는 해마와 함께 장기기억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로서 기억 정보들은 초기에 해마를 포함한 측두엽 내에 저장되었다가 점차 DLPFC와 같은 피질 영역과 측두엽간 연결성 강화를 통해 안정적으로 저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직 그 자세한 메커니즘은 잘 ...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2023.07.28
- 느슨해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물리적 지지 구조의 변화는 신경세포간 신호전달 장소인 시냅스의 구조적 가소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종류의 사이키델릭 약물들이 뇌 속에서 변화시키는 분자 기전이 틀리더라도 최종적으로 시냅스 주변 세포외메트릭스 조절 신호체계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2023.06.28
- 뜻하므로 여기에 포함하지 않고 따로 이름을 붙였다. 메탄과 수소는 땅 밑에 분포하는 장소나 생성 메커니즘도 달라 이런 구분이 더욱 적절해 보인다. 사실 얼마 전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심층기사를 읽지 않았다면 TV에 잠깐 나온 뉴스를 그냥 지나쳤을 것이다. 무려 7쪽에 이르는 기사는 ...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2023.05.26
- 따른 ‘쾌락’이 관여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어느 상황에서 분비된 도파민이 물 마실 장소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 더 중요할까. 이를 직접적으로 시험하기 위하여, 연구진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 그룹의 생쥐들에게 두 가지 중립적인 맛이 담긴 액체를 먹도록 훈련시키면, ...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2023.04.08
- 풀고자 이 교수팀에 합류했던 강정표 해군 항공사령부 중령은 “국내에서는 마땅한 발사 장소가 없어서 영덕 축산항 방파제에서 발사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1875년 프랑스 열기구 조종사인 조셉 크로스 스피넬리와 테오도르 시벨은 분광기를 들고 열기구에 올랐다. 이들은 지구 수증기의 기원이 ...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2023.03.24
- 조건화는 생쥐에게 공포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중립적인 외부 환경 또는 자극(예: 특정 장소나 아무 의미 없는 소리 등)들과 생쥐가 매우 아파서 공포를 느낄 정도의 강력한 전기 자극을 함께 동시에 처리, ‘조건화(conditioning)’하는 것이다. 공포 조건화 이후 생쥐는 전기 자극을 주지 않아도 ...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2023.02.24
- 것이라 생각된다. 예를 들어 나를 만족시키는 음식을 먹게 된다면 그 음식을 먹던 장소와 시간, 분위기, 사람 등이 장-내측 중격-해마 연결망을 통해 쉽게 기억될 수 있으며, 음식에 대한 나쁜 경험은 또다른 패턴의 활성을 일으켜 역시 부정적 음식과 관련된 정보의 기억을 만드는 데 관여할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해조류, 탄소제로 게임에 구원투수 될까2023.02.07
- 생각을 하기도 한다. 삼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 바닷가도 즐겨 찾는 채집 장소이고 여기서 구해 먹는 해조류도 무척 다양하다. 요즘은 대부분 양식인 미역과 김을 비롯해 다시마, 톳, 파래, 매생이에 바닷가를 여행하다 식당에 들어가면 ‘저런 것도 먹나?’라고 고개를 갸웃하는 이름도 모르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마우나로아 화산 속 마그마의 경로동아사이언스 l2023.02.05
- 예고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마그마가 저장된 장소, 마그마의 저장과 상승의 시간 척도, 마그마 근원에서 지표로 가는 경로 등 요소가 중요한 지표로 활용됐다 ... ...
- [일상 속 뇌과학] 자면서 짧게 뒤척일 때 기억이 정리된다2022.11.05
- 수 있었다. 이는 비렘수면 동안 발생하는 수면방추들이 전 날 학습한 정보를 기억장소에 저장하는데 필수적인 뇌활성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해 준 것이다. 그 과정에서 노르에피네프린 주기적 농도 변화가 수면방추 발생 조절을 통해 전날 학습한 정보를 뇌속에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