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타당
의회
국회
합당
공명정대
공정
정의
스페셜
"
정당
"(으)로 총 17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한다. 뉴욕대의 심리학자 존 조스트(John Jost)는 이러한 피해자 비난하기에 “체제
정당
화(system justification)”기능이 존재한다고 본다. 피해자 개개인의 행실에 주목하며 얼마나 순수한 피해자인지 따지기 시작하는 순간 조직에 존재하는 문제점에서 시선을 돌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학교 폭력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이 소중한만큼 남도 소중하다
2023.07.22
것’이라며 떳떳한 태도로 피해자를 비난한다. 프로 급의 피해자 비난하기와 괴롭힘
정당
화하기를 통해 피해자가 도움을 요청하기도 어렵게 만든다. 여기에 권력관계까지 끌고 들어와서 괴롭힘을 당해도 손쉽게 대항하기 어려운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선별해서 뒤탈이 없을 것 같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랫사람' 착취가 당연한 사회의 '그늘'
2023.07.08
여성이라면 엄마라면 당연히 희생해야 한다고 하는 등 각종 사회적 족쇄를 통해 착취를
정당
화해온 것은 아닐까. 결국 아무 것도 돌아오지 않는다는 것을 학습한 사회에서 착취의 세습을 거부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는 것은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겠다. 많은 이들이 ‘나는 저렇게 살고 싶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경찰이 잡아간다"...아이에게 거짓말 하면 일어나는 일
2023.05.05
일면 아이들에게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거짓말과 속임수를 사용하는 것은
정당
하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고 이야기한다. 또한 연구자들은 양육은 끊임없는 “소통” 과정임을 강조한다. 좀 시간이 걸리더라도 양육자와 아이가 서로의 마음을 터놓고 이야기하며 서로를 이해하고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제 역할을 못한 정부를 바로잡는 일에 신경을 써야 한다. 다만 법을 지키지 않은 기업에
정당
한 책임을 묻고, 정부의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이다. 소비자가 겁에 질려 호들갑을 떤다고 달라지는 문제가 아니다. 술·담배도 1군 발암물질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동아줄도 사라질 수밖에 없다. 과연 평생교육 업무만으로 거대한 교육부의 존재 이유를
정당
화시킬 수 있을 것인지는 두고 볼 일이다. 그동안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교육부가 역사 속으로 영원히 사라지게 될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렇다고 대통령이 기대하듯이 ‘교육 서비스’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기원 예산 이관 논란...혼란에 휩싸인 대학교육
2022.11.23
의식은 공정·정의·자유를 외치는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다. 일반대학과의
정당
한 경쟁을 회피하겠다는 옹색한 변명처럼 보일 수도 있다. 일반대학과의 경쟁이 하향평준화로 이어질 것이라는 주장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과기원이 교육보다 연구를 더 강조한다는 주장도 조심스럽다. 과기원에 재학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스토킹 등 타인 괴롭히고
정당
화...'어둠의 성격 특성'
2022.10.01
더 많은 거짓말과 공격성, 보복 행동을 보이며 이는 자신의 이익을 지키기 위한
정당
한 행동이라고 생각할 것이므로 반성하거나 후회할 가능성도 낮을 것이다. 이렇게 개인이 대응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들을 적당히 제제할 수 있는 시스템의 존재가 중요하다. 온 오프라인을 통해 타인을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우주개발, 순위 경쟁으로 변질시키지 않아야
2022.08.17
과장하는 일도 경계해야 한다. 우주 개발에 나서야 하는 명분을 국민이 납득할 수 있도록
정당
화시키는 일은 결코 만만치 않은 것이다. 우리 모두의 깊은 고민이 필요한 일이다. 1968 년 12 월 24 일 아폴로 8호 승무원 앤더스가 달 궤도에서 찍은 사진. NASA 제공 ※필자소개 ... ...
[이덕환의 과학세상]계약학과는 산업계 인력난을 해결해주지 않는다
2022.07.20
할 인력은 학사 362면, 석사 40명, 박사 9명뿐이다. 반도체 계약학과의 필요성을
정당
화시키기에는 턱없이 작은 규모다. 진단이 빗나가면 처방은 불가능하다. 반도체의 현실만 그런 것도 아니다. 12대 주력 산업에서 절박하게 요구하는 인력 2만8050명 중에서 46%도 고졸 인력이다. 그런데 고졸 인력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