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지
중절
정지
종결
미결
인터럽트
방해
스페셜
"
중단
"(으)로 총 86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과학자는 '떼도둑', 전공의는 '집단이기주의'로 모는 정부
2024.02.28
삭감·
중단
에 합의된 분명한 원칙이 있는 것도 아니다. 아무 예고도 없이 날아오는 삭감·
중단
통보를 거부할 수 없는 연구자의 입장이 몹시 난처하다. 신규 과제의 지원을 기대하기는 더욱 어렵다. 대학원 학생들이 크게 동요하고 있다. 민생토론회에서 요란하게 내놓은 이공계 대학원 학생에게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무분별한 불소 거부증 극복해야
2024.01.17
퍼지고 있는 무차별적인 ‘불소 거부증’은 결코 바람직한 것이 아니다. 우선 2019년부터
중단
된 ‘수돗물 불소화 사업’은 서둘러 재개해야 한다. 수돗물 불소화 사업은 1981년 진해에서 처음 시작되었다. 수돗물에 0.8ppm 이하의 불소 이온을 넣으면 어린아이들의 충치(치아 우식증) 예방에 상당한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 항생제 페니실린 발견은 우연일까
2023.12.17
우수하기는 하나 생체내에서는 효과가 없을 것”이라는 논문을 발표한 후 연구를
중단
했다. 결과적으로 플레밍의 발견은 앞 선 연구자들이 발견한 곰팡이의 항균 효과와 별 차이가 없었고 서서히 잊혀져가기 시작했다. 페니실린을 살려낸 플로리와 체인. 위키미디어 제공 ● 페니실린을 살려내어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예견된 중국발 요소 부족 사태…농업용 비료 걱정해야
2023.12.06
0%를 차지하고 있는 요소의 원활한 수급은 기대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중국의 요소수출
중단
보도 관련해 설명하는 강종석 부단장. 연합뉴스 제공 ● 부실한 대응과 묘한 관심 사실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은 이미 징조가 나타나고 있었다. 블룸버그통신이 요소의 주요 생산국인 중국의 은밀한 요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유리 재료가 많이 사용되었다. 1943년부터 독일과 미국이 전쟁을 벌이는 바람에 수출이
중단
되자 미국에서는 플라스틱 인공눈을 개발했다. 수요가 신제품 생산의 원동력이 된 것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인공 눈은 플라스틱 아크릴로 제작한다. 이식된 인공 눈은 안와의 근육에 부착되어 손상되지 않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피곤하면 왜 몸이 무겁게 느껴질까
2023.09.06
쓰자 23%나 덜 무겁게 느꼈다는 내용이다. 연구자들은 무릎 위가 잘린 사람들을 대상으로
중단
된 신경계의 말단에 전극을 연결하고 의족 발바닥에 센서를 붙여 발을 내디딜 때 그 신호가 무선으로 전극에 전달돼 신경계를 자극하게 만들었다. 원래는 환지통(팔이나 다리를 잃어 신경이 갈 곳을 잃어 ... ...
[일상 속 뇌과학] '환각'과 '치료'는 종이 한 장 차이
2023.07.28
여기도록 유도하는 행동치료방법도 있지만 치료효과가 그리 크지 않아 중간에
중단
하는 환자 비율이 높은 실정이다. 그런데 2021년 캘리포니아대 샌프란시스코 캠퍼스 소속 제니퍼 미첼(Jennifer Mitchell) 교수팀은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지에 놀라운 임상실험 결과를 발표하였다 (oi.org/10.1038/s41591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알프스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필터와 분리막도 교체해야 한다. 그런데 알프스의 가동이
중단
된다고 처리하지 않은 오염수가 그대로 바다로 누출되는 것은 아니다. 오염수의 수질과 알프스의 성능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의미가 없다. 중요한 것은 저장탱크에 들어있는 오염수가 아니라 바다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위험한 실내 분무소독 당장
중단
해야
2023.05.23
광주의 한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의 등교에 대비해 실내 분무소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실내 공기를 깨끗하고 위생적으로 만든다는 핑계로 밀폐된 다중이용시설의 실내 공기 중에 살균‧소독제를 분사하는 분무(噴霧)소독이 여전히 시행되고 있다는 소식이다. 노약자들이 생활하는 요양 ... ...
[프리미엄 리포트] 풍선에 매달린 기상관측·우주과학
2023.04.08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라 말했다. 하지만 아쉽게도 한국의 과학기구 연구는
중단
된 상태다. 이관중 교수팀이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약 5년 동안 진행한 연구가 최초였고, 또 현재까지 유일한 연구다. 이 교수팀은 2018년 ‘스누볼(SNUBall)’이란 영압력기구를 자체 제작해 회수에 성공하는 성과를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