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층
성층
스페셜
"
지층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산화탄소 지하암반에 묻어도 '이 조건'이면 지진 유발 가능성 낮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6.20
감축을 위해 공기 중 이산화탄소를 땅에 저장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가운데 이런
지층
방식이 '인공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과 러시아 등 3개국 연구자들이 지진을 유발하지 않고도 땅 속에 안전하게 이산화탄소를 저장할 방안을 알아냈다. ... ...
[지구는 살아있다]강 따라 흐른 용암의 자취를 찾아서
2022.05.21
목적지이기도 합니다. 백의리라는 마을에서 발견되어 ‘백의리층’이라 불리는 이
지층
은 아래쪽에 자갈층이, 위쪽은 현무암으로 덮여 있습니다. 자갈층의 자갈은 아주 둥글게 마모되어 있어서, 이전에 하천의 바닥을 굴러다니며 쌓였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자갈층이 현무암으로 덮여 있다는 ... ...
[프리미엄 리포트] 사용후핵연료 저장고 이제 진짜 여유 공간 없다
과학동아
l
2022.05.21
때도 그랬다. 파이로프로세싱과 SFR을 두고도 그랬고, 앞으로 중간저장시설 부지와 심
지층
처분 부지를 선정할 때도 쉽지 않을 것이다. 이걸 단순히 ‘님비(NIMBY)’현상의 일종으로 받아들이기엔 문제가 복잡하다. 정지범 울산과학기술원(UNIST) 도시환경공학과 교수는 “시민들이 위험을 인식하는 ... ...
동해 가스전의 불꽃 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9
가스전의 15배에 이르는 자원량이다. 하지만 해저에서 내부 압력이 과도하게 높은
지층
인 이상 고압대가 발견되면서 시추는 두 달여만에 중단됐다. 이상 고압대를 잘못 건드리면 자칫 통제 수준을 넘어서는 폭발적 분출 현상인 '블로아웃'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0년 멕시코만에서 ... ...
인류 역사상 최대 규모 지진 3800년전 칠레 북부에서 일어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4.24
결과, 높이 약 21m의 쓰나미가 칠레 해안선을 덮쳤을 것으로 나타났다. 아타카마 사막해안
지층
에서 해양 퇴적물과 해양 생물들의 흔적도 발견했다. 이런 흔적 아래로는 파괴된 석조 건물도 발견됐다. 연구팀은 “쓰나미의 위력은 자동차 크기의 바위를 내륙 약 1000km안까지 밀어 넣었다”며 ... ...
[프리미엄 리포트] 한국 유일의 시추시설, 동해 가스전의 불꽃이 꺼졌다
과학동아
l
2022.04.23
사이에 쌓인 퇴적물로 이뤄졌다. 현존하는 석유를 비롯한 화석연료 대부분은 신생대
지층
에서 발견되는 만큼 추가적인 화석연료의 발견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방어 구조 시추가 중단된 이후, 현재는 다시 한번 동해 가스전 인근을 중심으로 탐사에 나선 상황이다. 해양자원 ... ...
[프리미엄 리포트] 온도 변화로 읽는 지구의 대멸종
과학동아
l
2022.02.26
5.2 ℃ 내림 │공룡이 잠들다 1980년대 팔레오기(6600만 년 전~2300만 년 전)에 생성된
지층
(K-P 경계층)에서 이리듐이 발견됐다. 이리듐은 소행성으로부터 온 것이다. 하지만 이때만해도 소행성으로 인한 멸종설은 큰 지지를 받지 못했다. 그러다 1990년대 멕시코 유카탄반도에서 직경 약 200km의 ... ...
화성 '지질학자' 인사이트 지진계로 드러난 붉은행성 '속살'
연합뉴스
l
2021.11.26
착륙해 지진 자료를 수집하기 전에 화성 궤도선이 공중에서 촬영한 지형 자료를 토대로
지층
구조를 예측했는데, 화산활동에 따른 현무암층이 존재할 것이라는 점은 예상과 일치했으나 현무암층 사이에 퇴적암층이 존재하고 암석들이 전체적으로 다공성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은 새롭게 확인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플라스틱 쓰레기 지구에 영구적 흔적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04
위에 쌓인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겹겹이 쌓인
지층
위로 플라스틱 쓰레기 층도 하나의
지층
처럼 보인다. 그 위로도 플라스틱 쓰레기가 굴러다니고 있다. 곧 또 다른 플라스틱 쓰레기 층이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사이언스는 이번주 ‘우리의 플라스틱 딜레마’라는 제목의 특별호를 발간했다. ... ...
[지구는 살아있다] 강원도 고성 '위태위태' 서낭바위를 깎은 자연의 조각가
2021.06.26
더 얕은 곳으로 올라와 급히 식으며 작은 광물 알갱이가 만들어집니다. 그런데 이곳
지층
에는 화강반암 말고 다른 갈색 암맥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용의 모습처럼 생긴 바로 그 갈색 암맥입니다. 암맥은 마그마가 굳은 화강반암을 뚫고 들어가서 만들어졌습니다. 주로 석영과 장석으로 이루어진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