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측면"(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외로움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2024.04.27
- 하는 게 싫어서 등의 이유로 이들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면 공공보건의 측면에서도 외로움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활발히 하는 것이 중요할지 모른다. Hawkley, L. C., & Cacioppo, J. T. (2010). Loneliness matter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of consequences and mechanisms.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40(2), 218-2 ...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 생각보다 오래 면역력에 영향 준다동아사이언스 l2024.02.24
- 사람의 면역 체계는 각자 다르게 반응하지만 담배는 부정적인 측면에서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이다. 연구진에 따르면 흡연자들이 금연한 후 선천성 면역에 대한 영향은 사라졌지만 적응성 면역에 대한 영향은 금연 후 수년 동안 계속돼 감염이나 기타 면역 문제 발생 시 사이토카인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2024.01.21
- 있지만 샤츠도 왁스먼의 지도를 받았으므로 왁스먼에게 공로를 빼앗겼다는 것은 과장된 측면이 있다. 양측은 샤츠가 특허권으로 12만 달러와 로열티의 3%를 받는 조건으로 합의했다. 이로써 샤츠도 공동 발견자로 남게 되었다. 노벨상은 연구책임자만 수상자로 선정되는 경우와 책임자를 도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2023.12.13
- 정상 및 변이 애기장대 각각에 녹색형광단백질이 세포막에서 발현되게 만든 뒤 하배축 측면에서 파란빛을 비췄다. 녹색형광단백질이 파란빛을 흡수하면 그보다 파장이 긴 녹색빛을 내보낸다. 예상대로 정상 애기장대에서는 빛의 반대 방향으로 갈수록 형광이 줄어드는 반면 변이체에서는 거의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배웠다는 '착각'2023.11.18
- 형태로 떠먹여 줘도 그걸 씹어서 삼키고 소화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영양 흡수의 측면에서는 별로 실속 없는 것처럼 말이다. 또 다양한 매체나 열정적인 강사의 존재가 어떤 때는 되려 주의 집중을 흐트릴 수도 있을 것 같다. 교과서에서 예쁜 사진이나 일러스트가 나오면 되려 갑자기 낙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당근색은 없다!2023.10.18
- 관련된 몇몇 유전자의 변이가 결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핏 이해가 안 가는 측면이지만 당근의 성장 과정을 보면 이해가 된다. 야생 당근은 1년생 풀로 싹이 터 잎이 나고 자라다가 추대(bolting)로 불리는 꽃줄기가 올라와 꽃이 피고 열매(씨앗)를 맺는다. 일단 추대가 올라오면 뿌리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공지능이 과학을 업그레이드하는 법동아사이언스 l2023.09.30
- 네이처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네이처’ 표지에는 ‘연구 지능(RESEARCH INTELLIGENCE)’이라는 단어가 크게 적혀있다. 그 아래에는 좀 더 작은 글씨로 ‘인공지능(AI) ... 정보 등 야기될 수 있는 위험성은 무엇인지, 향후 과학을 어떻게 변화시켜나갈지 여러 측면에서 탐구해나갈 예정이다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소와 백신의 탄생…감염병 원인 찾는 여정(2)2023.09.09
- 왜 이런 모양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나름대로의 해석을 붙이기는 했지만 현대의학적 측면에서 보면 아무 효과도 없는 엉뚱한 행위에 불과했다. 흑사병 의사의 복장(왼쪽), 19세기 영국의 콜레라 예방 복장(오른쪽). 위키미디어 제공 이와 같이 격리, 소망, 옷 등을 이용하여 감염병으로부터 ... ...
- [과기원NOW] KAIST, 가상현실 구현하는 나노소재 광학 패터닝 기술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3.08.17
- 초고해상도 패터닝 기술을 개발했다. 형성된 발광 나노소재 패턴은 물리적, 광학적 특성 측면에서 높은 균일도를 보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 8월호에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봉수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손해정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차세대 태양전지 ... ...
- [표지로 읽는 과학] 코로나19로 인간활동 줄자 야생동물 활동 늘어동아사이언스 l2023.06.11
- 연구팀은 봉쇄 기간 동안 야생동물의 이동거리가 증가한 것에 대해 긍정적, 부정적 측면이 모두 있다고 결론내렸다. 좁은 서식지로 내몰렸던 야생동물들의 활동반경이 넓어진 것은 긍정적이지만 동시에 인수공통감염병이 확산될 위험성도 커졌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보호 종으로 규정된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