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행동"(으)로 총 1,163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지키고 싶은 자아상 무너질까 두렵다면?2024.12.21
- 한다. 이들에 의하면 타인을 용서하는 행위는 따뜻하고 관계를 중시하는 '여성적'인 행동이라는 고정관념이 존재하기 때문에 자신의 남성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남성들의 경우 (여성적으로 보이지 않기 위해) 용서에 인색할 수 있다. 실제로 평소에 운동 경기에 있어 절대 지지 않는 것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신감과 책임감이 '도덕적 용기'를 높인다2024.12.14
- 나랑 상관 없는 일이라거나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하나도 없다고 느끼는 경우에도 행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상황 인식도 제대로 되었고 책임감도 느끼며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잘 알고 있지만 불이익이 닥칠 위험성이 크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도 쉽게 도덕적 용기를 발휘하지 못할 수 있다. ... ...
- [의학바이오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 헬스케어혁신파크 통합연구공간 개소 外동아사이언스 l2024.12.10
- 주최하는 ‘2024년도 연수교육’에 참가해 비침습적인 소아청소년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치료법에 관한 자료들과 뉴아인이 연구개발한 ADHD 제품 ‘위드녹스(WITHNOX)’를 소개했다고 10일 밝혔다. 뉴아인은 위드녹스가 비침습적 뇌∙신경 미세 전기 자극 시스템은 부작용을 최소화하고치료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계엄군에 맞서는 힘은 어디서 나올까2024.12.07
- 연구 결과가 있었다. 한편 사람들이 대체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가치를 지키는 방향으로 행동하도록 만들어져 있다는 사실은 어떤 중요한 가치가 위기에 처해 있다는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다면 적지 않은 사람들이 나서서 변화의 바람이 불 것임을 알려주기도 한다. 여전히 희망이 있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조금 못 자더라도 살 수 있다"2024.11.30
- 심하게 앓고 있는 편이라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도록 하자. 수면 클리닉이나 수면인지행동 치료를 하는 센터를 찾아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 이겨내는 고난이 있을까2024.11.16
- 이보다 더 복잡할 거라고 생각한 사람들에 비해 노숙인들을 위한 봉사활동이나 도움 행동에 참여할 의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들이 특히 사랑한다는 소설 '데미안'을 보면 초반부에 유복한 가정환경에서 자라고 있는 주인공 싱클레어가 그렇지 않은 환경에 처한 다른 소년들을 바라보며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의 행복'에 주변 사람들 안위도 포함된다2024.11.02
- 타인의 아픔에 함께 슬퍼하고 함께 연약함과 무력함을 느끼고 꽃 한 송이를 바치는 행동들이 실은 인간 사회를 지탱해온 가장 거대한 물결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힘들다는 인식에서 나아가 나 뿐만 아니라 타인들도 다양한 이유로 힘들다는 깨달음, 측은지심이 인간이 지금까지 무리를 이루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큰 무대에 서면 몸이 얼어붙는 이유2024.10.16
- 잭팟 보상에서는 표적에 이르기 전에 멈춰 실패하는 횟수가 훨씬 많았다. 압박감으로 행동이 움츠러든 결과로 보인다. ● 경험 잦아지면 극복할 수 있지만... 이번 실험에서 네 가지 보상이 나타나는 빈도는 잭팟 보상이 5%이고 나머지 세 보상이 각각 31.6%로 같다. 즉 잭팟 보상은 20번에 1번꼴로 ... ...
- [표지로 읽는 과학] 초파리 뇌 전체 지도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4.10.05
- 새로운 뇌세포도 8400종류나 찾아냈다. 연구팀은 초파리 뇌 지도를 통해 초파리가 어떤 행동을 할 때 뇌에서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결과를 통해 뇌 작동 메커니즘을 예측하는 데 그쳤던 기존 연구에서 확인하는 수준까지 발전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셀프 도덕적 판단'의 위험성2024.10.05
- 영향을 받으며 꽤나 허술한 편이라는 것이겠다. 누군가를 조각조각 비판하기 전에 나의 행동 또한 세세히 따져본다면 조금이나마 오류를 줄일 수 있을까. Rhee, J. J., Schein, C., & Bastian, B. (2019). The what, how, and why of moralization: A review of current definitions, methods, and evidence in moralization research. Social and Personality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