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폐
괴로움
신세
부아
폐장
스페셜
"
허파
"(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아마존과 아프리카 탄소 흡수능력을 잃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3.07
850억t에 이르는 탄소를 머금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아마존 열대우림과 함께 '지구의
허파
'로 불린다. 지난 1990년대와 2000년대 초 인류가 발생시킨 이산화탄소의 15%를 흡수한 것으로 조사됐다. 워니스 후바우 벨기에 중앙아프리카박물관 생물학과 연구원 연구팀은 1983년부터 2015년까지 아마존과 ... ...
[프리미엄리포트]고작 감기인줄 알았던 바이러스의 진짜 정체
과학동아
l
2020.02.28
숙주세포로 삼는다. 가령 사스 코로나바이러스는 사람의 섬모 기관지 상피세포와 폐포(
허파
꽈리) 안의 2형 상피세포를 숙주세포로 삼고, 메르스는 비섬모성 기관지 상피세포와 2형 상피세포를 숙주세포로 삼는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숙주세포에 들어가면 유전체 RNA에서 곧바로 단백질을 만들 수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해독차 증기 들이마시면 효과?” 미세먼지 둘러싼 거짓정보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수 있다는 주장의 영상도 있다. 김 교수는 "미세먼지는 기관지와 세기관지를 거쳐 폐포(
허파
꽈리)에까지 들러붙을 수 있다"며 "호흡기내과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넣어 기관지를 세척하더라도 이미 폐포까지 도달한 미세먼지까지 씻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갈라져(프랙탈 구조) 수많은 작은 기관지로 되고 그 말단에 포도송이 같은 폐포(
허파
꽈리)가 있다. 숨을 들이쉬었을 때 부풀어 오른 폐포의 표면적을 다 합치면 테니스코트만하다. 폐포는 두 가지 유형의 세포로 이뤄져 있다. 먼저 표면적 대부분을 차지하는 1형 폐포세포는 두께가 얇고 ... ...
[채널A] 겨울잠 자는 어린 ‘물거미’ 첫 포착
채널A
l
2014.01.28
거미줄로 지은 물거미의 집입니다. 물거미는 평생을 물속에서 생활하지만 육상거미처럼
허파
와 복부의 숨구멍으로 호흡하기 때문에 복부에 항상 공기방울을 붙이고 다닙니다. 또 거미줄로 공기주머니집을 만들어 그 안에서 먹이를 먹고 보온 효과를 이용해 겨울잠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
인류의 수중탐사는 언제 시작됐을까?
KISTI
l
2013.06.05
자세로든 자유롭고 편안하게 헤엄칠 수 있는 아쿠아렁(Aqualung)을 개발한 것이다. ‘수중
허파
’라는 뜻을 지닌 아쿠아렁은 프랑스의 발명가 에밀 가냥(Emile Gagnan)과 20세기 최고의 해저 탐험가 자크 이브 쿠스토(Jacque-Yves Cousteau, 1910~1997)가 탄생시킨 혁신적인 잠수장비다. 쿠스토는 1942년 가냥을 만나 ... ...
이전
1
2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