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캐나다 옐로나이프의 오로라
과학동아
l
201002
북쪽에 위치하며 오로라 대에 속한다. 왜 ‘옐로나이프(Yellowknife, 노란 칼이란 뜻)’일까.
처음
서양 탐험가가 여기에 도착했을 때 인디언(치퍼맨 족)이 노란 칼을 차고 있었던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칼이 노란색이었던 이유는 구리의 함량이 높기 때문이다.치퍼맨 족은 코파마인 강에서 채취한 ... ...
일본 이리오모테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2
그리 어렵지 않았다. 카누가 워낙 작아서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쭉쭉 앞으로 잘 나간다.
처음
에는 카누가 뒤집히면 어쩌나 걱정도 했지만 나카라 강의 수심이 워낙 얕은 데다 물도 따뜻해서 나중엔 일부러 물에 들어가고 싶을 정도였다.이렇게 물의 온도가 따뜻한 이유는 쿠로시오 난류의 영향이다. ... ...
한국 원전 첫 수출, 숨은 비결은
과학동아
l
201002
비로소 빛을 볼 수 있었다. 현재 고리 원전 옆에 건설 중인 신고리 3, 4호기는 APR1400이
처음
적용된 원전이다.차근차근 원전 기술을 습득하던 한국이 본격적으로 원전 수출을 꿈꾸기 시작한 시기는 2004년경이다. 에너지 위기에 지구온난화까지 겹쳐 원자력의 이용 가치가 주목을 끌면서 ‘원자력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02
‘지구제국(Imperial Earth)’에서 우주 어딘가에 있을 미니 블랙홀을 활용하는 우주선을
처음
으로 선보였다.그렇다면 이런 블랙홀은 어디에서 구할 수 있을까. 크레인 교수는 “우리 태양계에서는 미니 블랙홀을 찾을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에 미니 블랙홀을 직접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크레인 ... ...
동계스포츠에 숨은 과학원리
과학동아
l
201002
밖으로 잘 빠져나간다. ※ 주목할 선수 스노보드 김호준 20·한국체대한국 스노보드 사상
처음
올림픽 출전권을 따냈다. 8살 때 우연히 스노보드를 접하고 서울에서 강원도로 전학을 갔다는 그는 진정 스노보드 마니아. 지난해 3월에 출전한 월드컵대회에서 대한민국 스노보드 선수로는 최초로 ... ...
과학으로 디자인한 우리 옷
과학동아
l
201002
않지만 포장법의 차이는 사실 옷 구조가 다른 데서 비롯된다.우리 옷은 평면적이다.
처음
디자인할 때부터 평 면으로 설계됐고 완성된 모양도 평면이다. 따라서 양복처럼 구겨질 것을 걱정해 옷걸이에 걸어둘 필 요가 없다. 종이처럼 접어 납작하게 정리할 수 있기 때문에 솜옷이 아니고서는 개켰을 ... ...
도넛과 머그컵이 똑같이 생겼다고?
수학동아
l
201002
4 길이가 20cm인 띠로 180° 만큼 두번 꼰 종이를 만들었어. 이 위를 무당벌레가 기어서
처음
위치로 돌아온다면 무당벌레가 돌고 온 총 거리는 얼마일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뫼비우스 행성 탐험기첫째 날 M-214호에 떨어지다 둘째 날 알쏭달쏭 신기한 세계 셋째 날 상상하면 이뤄질까?마지막 날 ... ...
정순영 교수님이 밝히는 2010년 수학 공부 방법!
수학동아
l
201002
것이 됩니다. 수업을 듣는 시간보다 혼자서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세요. 공부를 해도
처음
엔 티가 나지 않는 것이 수학 공부예요. 하지만 끈기를 가지고 공부하면 어느 날 갑자기 달라진 수학 실력을 느낄 수가 있어요. 끈기있게 공부해서 가슴 벅차오르는 성취감을 맛보세요.4 어려운 것보다는 쉬운 ... ...
[허풍의 퍼즐 세계일주] 박물관에 비밀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02
경찰에 미리 협조 요청을 해 두었던 터라 도움을 줄 사람이 박물관 앞에 나와 있다.“
처음
뵙겠습니다. 고고학자인 앙드레 드 사브리라고 합니다. 사건에 관한 내용은 들었습니다. 일단 이번 주 안에 박물관으로 물건이 들어오긴 합니다만 박물관 측에서 정보 공개를 거부하고 있습니다.”“박물관에 ... ...
막힌 도로를 뚫어 주는 신기한 수학
수학동아
l
201002
이론과 알고리즘을 비롯한 산업공학을 배웠을 때 교통공학과 학생들을 만났어요. 그 때
처음
으로 교통공학에 대해 알게 됐고, 전공을 그 쪽으로 택했죠. 갑자기 웬 교통공학이냐 싶지만, 미국과 우리나라는 제도가 좀 달라요. 우리나라에서는 교통공학과가 토목공학부에 속해 있지만, 미국은 다양한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