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산 위의 산 주왕산 깃발바위
과학동아
l
200604
꽂았다고 해서 깃발 바위, 즉 기암(旗岩)이라 부르게 됐다.그렇다면 폭 약 150m, 높이 약
100
m를 넘는 거대한 성곽을 연상케 하는 주왕산 기암은 어떻게 만들어진 걸까.원래 주왕산 일대는 약 1억6000만년 전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화강암과 이곳 일대가 거대한 호수였을 당시인 약 1억 년~7000만년 전 ... ...
우리나라에서 볼 수 없는 개기일식
과학동아
l
200604
자신이 만든 분비관 속에서 산다화석은 오르도비스기 이래로 알려져 있고, 전세계적으로
100
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 전력의 송전계통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계전방식의 일종으로 송전선에 단락(短絡)이나 접지(接地)의 사고가 일어났을 때 고장점(故障點)의 양끝에서 신속히 선로를 차단(고속도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04
월 탄생한 ‘마이둠’(Mydoom) 웜은 역사상 가장 빨리 전파된 악성코드다. 이때 세계적으로
100
만대 이상의 컴퓨터가 앓아누웠다. 특히 ‘베이글’ ‘넷스카이’ 웜과 함께 서로를 공격하거나 치료해주는 등 여러 변종을 만들어내며 ‘웜 삼총사’로 사이버 세상을 누볐다.2004년부터 바이러스는 완전히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04
위해서는 반지름 4m의 쇳덩이로된몸통을 90°회전하는데 2분간 10μm(마이크로미터, 1μm=
100
만분의1m)이내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또 천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망원경 몸통을 0.1μm의 정밀도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한다. 이같은 대형기계의 초정밀 구동기술은 산업기술로 파급되는 효과도 매우 클 ... ...
태권V 로켓주먹 발사하려면?
과학동아
l
200604
발사하는 장면을 방송한 적이 있다. 일본의 회사연합체 2팀이 만든 로켓주먹을 발사해
100
m 앞에 놓인 목표물에 맞히는 대결이었다. 오른쪽 로켓주먹이 불을 뿜으며 목표물을 쓰러뜨리는 데 성공했고 왼쪽 로켓주먹은 발사에 실패했다. 애니메이션 속에 있던 로켓주먹이 현실로 튀어나온 셈.이런 ... ...
PART3 인간을 노리는 컴퓨터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604
차단하는 기술이 존재할 수 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아무리 노력해도 기술이
100
% 완벽하지는 않기 때문이고, 악성코드 제작자들이 그 허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그럼에도 백신 업체들은 끊임없이 기술 개발에 투자해 ‘불가능한 현실’에 도전하고 있다. 사용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모든 ... ...
사람 냄새 풍기는 디지털 액터
과학동아
l
200604
아직 기술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들이 많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아직 디지털 액터가
100
% 인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없다는 인식이 남아있기도 하지만, 시각화 기술이 부족한 것이 더욱 현실적인 문제다.외형이나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표현된다고해도 디지털 액터를 영화에 출연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 ...
조선시대의 로켓 '신기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4
만들었지요. 특히 이 신기전을‘신기전기’라는 화차에 꽂아 놓고 발사하면 동시에
100
여 발을 발사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그 위력은 실로 무시무시한 것이었습니다. 세종과 문종 시절 여진족의 침입을 방어하는 데 큰 역할을 했던 절제사 이징옥은‘적에 대응하는데 있어 가장 긴요한 무기’라는 ... ...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04
가장 슬플 때라고 말하기도 한다.지윤이는 어려서부터 숫자에 관심이 많았다. ‘오늘은
100
% 중에 기쁨이 95%구요. 5%는 그저 그래요’ 라며 수를 이용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기도 했다. 부모는 지윤이의 수학적 능력을 발견하고 이를 키워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했다. 예를 들면 집에서도 ... ...
오아시스에서 모래 바람 분다
과학동아
l
200604
지난 20년 새 늘어난 중국 내륙지역의 사막 면적만 6만㎢에 달한다. 매년 서울의
100
배 만한 땅이 사막으로 변하는 셈이다. 사막화는 지나친 방목과 산림훼손에 따른 토양유실 때문에 일어난다. 중국의 사막화가 빨라지면서 황사 발생횟수도 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연평균 3.9일에 그쳤던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