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있어도 누드양이나 누드염소는 아직 생산할 수 없다는 의미다.지난 5월 일본과 영국의
공동
연구팀은 시궁쥐(rat)의 유전자 지도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시궁쥐는 당뇨병이나 고혈압을 연구하는 중요한 실험동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시궁쥐의 유전자 지도는 이 질병들과 깊은 관계를 가지는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굳게 자리잡았다.인류학자의 과제는 예나 지금이나 사람의 조상이 언제부터 유인원과의
공동
조상으로부터 분리됐는가를 알아내는 것이다. 물론 현대인(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의 직접 조상이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네안데르탈인은 현대인의 조상이 아니라는 게 학계의 다수설이다. 그러나 그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옆 방의 교수가 무슨 연구를 하는지 서로 잘 모르는’ 한국 대학의 현실에서 이런
공동
연구는 거의 불가능했다. 그런데 경기의약연구센터가 설립되면서 그 일이 실현된 것이다. 단계별로 4개팀을 짜고 각 팀에 2-3명의 교수가 소속돼 자신들의 전문 지식을 최대한 공유하는 시스템이 약학대학 내에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나오는 가스의 온도가 너무 높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NASA와 카네기멜론대학은
공동
으로 단테 2호라는 로봇을 개발해 1994년 7월 스푸르화산을 탐사했다. 단테는 8개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무게는 8백kg. 개발비는 1백80만달러가 들었다. 단테 2호의 형님격인 단테 1호는 1992년부터 활동했으며, 1993년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밀레니엄북스 시리즈 제8권)로 묶어냈고, 조선일보 출신의 박은철은 환타지 대하소설의
공동
집필 작업을 시작했다. 90년대 후반의 두드러진 특징은 환타지문학의 유행이기도 하다. 환타지 문학이란 현실세계가 아닌 환상(환타지)적인 세계에서 벌어지는 일을 소재로한 문학이다. 마법이나 전설 등이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1916-)도 암모니아 메이저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결국 타운스는 바소프와 프로호로프와
공동
으로 1964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하게 된다.메이저를 개발한 타운스는 1957년 마이크로파보다 더 파장이 짧은 가시광선을 증폭할 수 있는 레이저에 도전했다. 그는 이 일이 혼자 힘으로 힘들다고 보고 ... ...
수학사의 미스터리 마방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고안한 9차 마방진은 수학적 탁견을 보여준다. KAIST 수학과 한상근 교수와 대학원생이
공동
연구한 결과, 최석정의 9차 마방진은 직교 라틴방진이라는 매우 명쾌한 이론 아래서 이루어진 것으로 그의 수학에 대한 이해와 독창성을 잘 드러내주고 있다. 이 마방진은 9행 9열 대각선의 합이 3백69로 같음은 ... ...
인류진화의 출발점 빙하시대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길을 걸었다.인류의 문명은 빙하기로 말미암아 발달했다. 인간이 언어를 사용하고
공동
으로 작업했던 것은 빙하기와 같이 전지구적으로 찾아온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러한 환경변화와 이에 대한 적응이 없었다면 인류는 지금까지도 열대에서 원시생활을 하고 있었을지 모를 일이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새로 발견했다고 믿었다. 또한 루이스 스위프트(1992년에 돌아온 스위프트-터틀 혜성의
공동
발견자)도 불칸이라고 생각되는 행성을 보았다. 그러나 이것은 왓슨의 것과도 다르고, 르바리에나 레카보의 것과도 다른 것이었다.그러나 그 뿐, 이후 아무도 불칸을 다시 보지 못했다. 1916년 아인슈타인이 ... ...
공동
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사람의 뼈에 인이 많이 함유돼 있는데 이장한 무덤이나
공동
묘지에서 도깨비불이 많이 나타나는 것은 이와 관게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손때 묻은 부지깽이인광설 외에도 지금까지 도깨비불을 설명하는 이론은 여럿 제시됐다. 어떤 사람은 인화보다는 메탄에 의한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