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크기
범위
스케일
사이즈
치수
중소규모
중소
d라이브러리
"
규모
"(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덕시대 개막으로 재웅비 꿈꾸는 스무살 KAIST 고뇌와 도전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조건들이 박탈돼 우수학생 유치에 고심하고 있는 KAIST 로서는 한해 4백여억원의 예산
규모
에 재정 자립도가 겨우 7%인 현재의 상황에서 부하되는 '홀로서기'요구가 벅찰 수밖에 없다.그러나 대부분의 KAIST인들은 이 요구가 부당하다고는 생각지 않는 분위기다. 오히려 '올 것이 왔다. 다만 그 시기와 ... ...
5 「통신사각지대」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증설이 대부분 무궁화호에 탑재된 통신용 중계기에 의해 그 필요성이 없어진다. 웬만한
규모
의 전화국 정도는 위성이 교환국 기능을 대신할 수 있기 때문이다.지리적 여건상 지상방식의 통신선로 구성이 어려운 도서 벽지에서도 전화를 쉽게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다. TV난시청지역과 함께 통신 ... ...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난 1985년에 시작해 1995년까지 진행될 TOGA(적도해양-지구대기)란 대
규모
연구 계획이 끝날 무렵이면 해양과 대기간의 상호 작용과 그와 관련된 엘니뇨 남부진동과 같은 현상들을 지금보다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아울러 수년 정도의 장기예보기술을 확립하는데 커다란 ... ...
2 머리카락 굵기로 전화 2억회선 구성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3만5천회선이고 이중 절반에 가까운 19만5천회선이 광섬유 케이블 방식이다.광섬유의 설치
규모
는 코어의 총연장 길이로 따져 11만2천㎞에 달한다. 금년에는 15만 회선분의 광통신회선과 2만4천㎞의 광섬유를 새로이 설치한다.이는 우리가 시외전화를 걸 때 두번중 한 번은 광섬유 케이블을 통한다고 ... ...
싹트기 시작한 천문학 연구에 찬바람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것입니다. 즉 투자에 따른 결과물(out put)이 다른 연구에 비해 떨어진다는 것이지요. '적정
규모
미달'을 이외에 다르게 해석할 방법이 없습니다. 실제로 천문학은 다른 연구에 비해 생산성이 떨어지지요. 그렇다고 설립된지 겨우 5년밖에 안되는데 연구의 효율성을 따진다는 것 자체가 놀랍습니다. ... ...
돼지의 분뇨성분을 활용하는 방법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한창 진행되고 있는데, 이 예비실험이 성과를 거두면 10만ℓ 이상의 용량을 지닌 대
규모
산업용 발효장치에도 적용해 볼 계획이라고 한다.95년부터는 유럽의 일반 축산농가에도 실용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이 돼지 암모니아 활용법은 환경공해를 예방할 뿐더러 배설된 분변을 깨끗하게 처리해 다시 ... ...
4. 「타워링」의 비극이 현실화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자연적인 환경모습이 파괴된다.우리나라처럼 산이 많은 환경조건에서는 고층대형건물의
규모
위치 모양 등이 자연경관 배경과 조화되고 좋은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하는 법규제와 건축가의 설계수준, 특히 허가관청 건축심의위원들의 건축과 도시의 환경디자인을 보는 안목이 더 세련되어야 할 것 ... ...
실리콘밸리의 아침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프레이너형 생산공정은 트랜지스터 생산확대에 전기를 마련했다. 이 기술은 이후 LSI(대
규모
집적회로)의 기본의 되는 MOS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개발로 이어지게 된다. 노벨상을 수상했지만 지나친 금전욕과 가혹한 훈련방식으로 인해 쇼클레이는 파산했다.1970년 쇼클레이는 '모든 인종은 ... ...
(3) 「비의 바다」에 펼쳐진 신비의 분화구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계곡이 있다. 길이가 1백30km에 달하는 알프스 계곡으로 지구의 아라비아반도의 홍해와
규모
모양이 비슷하다.알프스산맥의 동쪽에는 플라토라는 지름 95km의 낮고 평평한 큰 크레이터가 있는데 그 내부는 바다의 표면보다 더 검어 '검은 호수'라고 불린다. 이 부분은 달표면 지각활동의 징후인 빛의 ... ...
지구궤도에는 원자력위성사용 금지해야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다음번 위성때는 '두번 실수'를 범하지 않는다. 하지만 위성에 실리는 원자로시스템의
규모
나 방사성물질의 탑재량은 급격히 늘기 때문에 '한번 실수'가 치명적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대기권으로 재돌입되는 것도 문제지만 이른바 폐기물처리 궤도를 돌고 있는 사용후 원자로도 이제는 안전성을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