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흡혈파리에 팔을 내밀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7월 말 EBS에서 국내 다큐 ‘기생寄生 PARASITE’가 반영됐다.다큐를 본 시청자들은 생생하면서도 신기한 화면에 감탄했다.특히 체체파리가 사람의 팔에서 피를 빠는 장면은 경악스러웠다. 도대체 저장면을 어떻게 찍은걸까.다큐 제작팀이 직접촬영 현장을 공개한다.‘기생寄生 PARASITE’는 기생생물, ... ...
- 배터리 닳는 속도가 LTE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롤리팝, 매직홀, 크리스탈폰…. 기억이 나는 이름이 있을까. 스마트폰이 나오기 전 대한민국을 풍미했던 피처폰의 애칭이다. 기능은 요즘 쓰는 스마트폰에 비하기 힘들지만 배터리만큼은 한 번 충전하면 2박 3일은 걱정이 없었다. 당시 쓰던 배터리의 용량은 800~1000mAh(밀리암페어아워) 정도. 그럼 충 ... ...
- 어린이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사랑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새 장난감을 소개합니다!”세계적인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가 우리나라를 방문했다.그는 매년 전 세계를 다니면서 놀라운 장난감을 발표하고 공짜로 나눠 주는 깜짝 이벤트를 하고 있다.“한국은 5월 5일이 어린이날이라고 들었습니다. 올해는 어린이날을 ... ...
- [환상 퍼즐여행2] 시간의 붕괴를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으악! 장벽이 무너진다!”폴 일행은 뫼비우스의 공간을 나오자마자 또다시 위기에 봉착한다. 무서운 속도로 무너져 내리는 거대한 장벽을 피하기 위해 몸을 피해야 했지만,무거운 공기가 그들을 짓눌렀던 것이다.“으윽, 바로 저기야. 눈앞에 시공간 우주선이…! 조금만 힘을 내!”사건 사고를 ... ...
- 한가위 보름달은 수학으로 뜬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야~, 달 밖으로 나오니까 좋구나! 오랫동안 절구질만 하느라 정말 지루했어. 게다가 사람들은 왜 모두 똑같이 한가위만 되면 달을 보면서 소원을 비는 거야? 평소엔 잘 보지도 않으면서 말이야. 앞으로 달을 볼 땐 소원도 좋지만 수학을 떠올려 보는 건 어때? 지금부터 이 옥토끼가 달과 관련된 재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셜록홈즈는 한 학생으로부터 엄마가 이야기하는 ‘엄친아’가 누군지 찾아달라는 요청을 받는다.그 친구는 정말 대단해요. 하나를 알면 열을 알고, 어떤 문제든 논리적으로 해결해 낸대요.음…, 날 말하는 건가? 왓슨, 이 학생의 어머니가 어떻게 날 알아냈을까? 내가 엄친아로 그렇게 유명한 거야?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지난 6월 말, ‘엽기적인’ 연구가 ‘사이언스’에 실렸다. 사진만 봐서는 건강식품을 만드는 장면 같다. 얇게 저민 육포 같이 생긴 물체가 투명한 포장지에 담겨 컨베이어벨트를 타고 이동하고 있다. 흰 가운을 입은 사람들이 모든 과정을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모습까지 있다.하지만 그 물체는 ... ...
- 도사, 신선, 여래, 그리고 원숭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야기 하나양강 땅에 큰 부자가 살았다. 아들은 없고 십 오륙 세 되는 딸이 하나 있었는데, 시름시름 앓더니 명의를 모두 불러 보여도 차도가 없었다. 병을 고치면 만금을 주겠다는 방을 걸자 소문을 듣고 어중이 떠중이들이 몰려들었으나 당연히 병은 더 나빠지기만 했다.그때 누군가 부자에게 도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제우스, 포세이돈, 아테나…. 고대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쟁쟁한 올림포스의 신들이 실제로 존재한다면? 의 주인공 퍼시 잭슨은 사고뭉치 청소년으로 평범하게 살아가던 중, 자신이 포세이돈의 아들이란 사실을 알게 된다. 그리고는 사악한 신으로부터 인간 세상을 구 ... ...
- [W5 코드 브레이커] 인터넷과 함께 시작된 새로운 암호체계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급속히 보급되기 시작한 컴퓨터는 ‘정보 보안’이라는 문제를 불러왔고, 그 결과 전통적인 암호화 방식을 발전시켜 컴퓨터에 적용한 ‘대칭 암호’가 등장했습니다. 하지만 1970년대 이후 컴퓨터와 통신망이 결합되기 시작하면서 대칭 암호로는 중요한 정보를 지키기 어렵게 됐습니다. 그래서 등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