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도 생명체 생길 수 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제공한다. PAH가 얼음 표면에 붙으면 다른 복잡한 유기물로 바뀌기 때문이다.구디파티
박사
는 “우주 공간에서 생긴 이런 유기분자가 혜성이나 소행성을 타고 지구에 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천체물리학’ 9월 1일자에 실렸다 ... ...
생각하는 만화 그리는 빠나나
박사
이기진교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간단하게 만들어서 소소한 웃음을 주고 싶었어요. 언젠가 그 팬티가 해골과 빠나나
박사
를 마법의 세계로 이끌지도 몰라요. 하하!만화로 물리를 공부할 수 있을까요?나의 만화를 통해 어린이 친구들이 물리 지식을 하나 더 외우게 되는 것을 원치 않아요.그 대신에 물리를 익히는 방법을 알려 주고 ... ...
2012 열대해양체험단, 남태평양을 품다!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한때 동물플랑크톤으로 존재한다는 사실이었습니다. 저서 생물을 연구하시는 윤건탁
박사
님은 칠게들이 알을 낳아 부화하면 바로 게처럼 생긴 것이 아니라, 동물플랑크톤으로 존재하다 어느 순간 갑각류인 게로서 성장한다고 하셨어요.실제로 동그라미에 길고 얇은 삼각형과 직사각형을 붙여놓은 ... ...
[화성탐사 특별기획 2] 성큼성큼 화성 누비는 문어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샘플을 손으로 수집할 때 유용할 것이다.➊ 우주로봇 전문가인 NASA의 브라이언 윌콕스
박사
가 인간과 로봇의 우주탐사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➋ 가상공간에 우주탐사로봇이 움직이는 모습을 구현한 ‘세컨드 라이프’실험 화면.➌ 외계행성탐사용 로버ATHLETE가 울퉁불퉁한 언덕을 오르고 있다. ... ...
녹색 마녀의 비밀 WICKED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없는 다리도 같은 패턴으로 움직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로빈를 개발하고 있는 박현섭
박사
는 “착용자가 직접 다리를 움직여야만 하기 때문에 정말로 자신이 다시 걷는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로빈은 빠르면 내년 하반기에 상용화될 예정이다.저명한 SF 작가 아서 C. 클라크는 ... ...
Part 2. 엄마가 되면 뇌는 더 똑똑해진다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육아 경험이 뇌 구조를 바꾸는 현상은 사람에서도 일어난다. 김필영 미국 예일대 의대
박사
팀은 지난 2010년 학술지 ‘행동신경과학’에 발표한 논문에서 출산 전과 출산 뒤 2~4주, 3~4개월 뒤 엄마의 뇌를 자기공명영상(MRI)으로 측정해 부피를 비교한 결과 몇몇 영역의 회백질부피가 늘어났다고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
박사
과정은 거의 학비가 면제된다”며 “생활비로 쓰는 장학금이 월 200만원을 넘고,
박사
후과정은 기업연봉과 비슷한 수준의 연봉을 받는다”고 말했다. 교수 평균 연봉은 아시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물론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만큼 1년마다 연구성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3년마다 ... ...
레이저 선배 ‘메이저’ 상온 첫 성공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자리를 내주고, 이후 50년 이상 묻혀 있었다.영국 국립물리연구소(NPL)의 마크 옥스버로우
박사
팀은 메이저 작동에 필요한 크리스탈 광학 장비의 재료를 바꿨다. 기존의 무기물(루비 보석) 대신 벤젠고리 5개로 이뤄진 유기물인 ‘펜타센’을 써서 2~3cm 크기의 크리스탈 구조물을 만들었다. 그 뒤 ... ...
2012 한반도를 습격하다! 말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말벌이 공포심에서 무조건 없애야할 대상으로만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최
박사
는 “최근 수년 사이 도심 말벌 수가 어느 정도 늘고 있는 걸로 보이지만 신고건수가 늘어나는 것만큼 폭발적인 건 아니다”라며 “그만큼 사람들이 민감해진 결과”라고 설명했다. 실제 신고를 받고 출동한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우리나라에만 사는 고유 품종이라는 사실이 밝혀졌어요!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
팀은 진돗개 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어요. 미토콘드리아 DNA는 생물 계통을 분류할 때 사용된답니다. 연구팀은 진돗개의 미토콘드리아DNA를 품종이 다른 개 79종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다른 개가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