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d라이브러리
"
발표
"(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피부 줄기세포로 근육 만들어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iPS) 세포를 근육 조직으로 분화시키는 데 성공해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9일자에
발표
했다. 피부에서 실제로 수축과 이완을 할 수 있는 근육조직을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다. iPS세포는 피부세포와 같이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를 분화가 되기 이전으로 돌려놓은 세포를 말한다. 모든 ... ...
[과학뉴스] 햄버거, 피자 좋아하면 만성 염증 생긴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서구 식단이 몸에서 염증 반응을 유도한다는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1월 11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지방이 21.2%를 차지하는 서구 식단을 한 달간 먹인 쥐와 지방 14%, 단백질이 25%인 식단을 먹인 쥐의 혈액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서구 식단을 먹은 쥐의 혈액에서 과립구와 단핵구와 ... ...
[과학뉴스] 전문지식 이해하는 AI 개발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지식을 이해하는 인공지능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인터넷의학연구저널(JMIR)’ 1월호에
발표
했다. 인공지능이 얼마나 지식을 이해하느냐에 대한 기존 연구는 기사와 동화책 등 단편적이고 난이도가 낮은 텍스트에 대한 것뿐이었다. 연구진은 인공지능에게 생명의료 분야 전공서적을 읽게 했다. ... ...
[종목7] 스키점프, 金빛 바람 타고 더 높이 날아올라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연구를 주도한 방경태 연구원은 이 결과를 2016년 12월 ‘국제과학과스키회의(ICSS)’에서
발표
해 ‘젊은연구자상’을 받았다. 연구팀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시뮬레이션한 실험에서도 실제 풍동실험과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선수별 최고 비행거리를 낼 수 있는 자세를 찾기 위해 매번 풍동실험을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2010년 이후에는 평균 5.9년마다 발생하고 있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월 16일자에
발표
했다. 40년 전에 비해 5배나 잦아진 것이다. 또 연구진은 과거의 백화현상은 반경 10km 이내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발생했지만, 최근에는 넓은 지역에 걸쳐 발생한다는 분석 결과도 공개했다. 2015~2016년 발생한 ... ...
[Future] 저항 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 시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PRNP)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로 편집해 광우병 감염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
했다. doi:10.1016/j.theriogenology.2016.06.010 『가축의 유전체에서 어떤 유전자가 특정 질병에대해 저항하는지 알면, 이 유전자를 활용해‘슈퍼 가축’으로 개량할 수 있다』 유전자 마커 이용 분자육종에 ... ...
[별난이름정리] 공짜 점심은 없다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정리이지요. 미국 수학자 데이비드 울퍼트와 컴퓨터 과학자 윌리엄 맥크레디가 1997년
발표
한 논문에서 ‘최적화를 위한 공짜 점심은 없다’고 수학적으로 증명했습니다. 문제에 직면했을 때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여러 번 만들어 시도해 볼 수밖에 없습니다. ... ...
[과학뉴스] 중력장 변화로 지진 규모 확인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프랑스국립과학연구소(CNRS) 교수는 “당시 일본 기상청은 지진 규모를 처음에는 7.9로
발표
했다가 3시간 뒤 8.8로 수정했다”며 “만약 중력장의 변화를 관측했다면 수 분안에 9 이상으로 지진 규모를 확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126/science.aao074 ... ...
[과학뉴스] 섬유근육통, 왜 이렇게 아픈지 봤더니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분석하고, 섬유 근육통의 원인이 뇌의 ‘폭발적 동기화’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
했다. 폭발적 동기화는 서로 연관된 다양한 개체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작은 자극에도 폭발적인 연쇄반응을 일으키는 물리학 현상이다. 연구진은 섬유근육통 환자 10명의 뇌파를 측정한 결과 환자들의 ... ...
[과학뉴스] 갯가재의 강력 펀치 비밀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높이는 독특한 구조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1월 16일자에
발표
했다. 연구팀은 갯가재의 다리를 긴 나선형 구조의 섬유로 이뤄진 부분과, 빽빽하게 줄무늬가 있는 부분 등 두 영역으로 나눴다. 연구팀은 다리의 바깥쪽을 감싸고 있는 줄무늬 부분이 충격으로 다리가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