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핍
종족
불충분
결여
모자람
결손
미비
d라이브러리
"
부족
"(으)로 총 4,210건 검색되었습니다.
긴급점검 사이버 교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자신의 학습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교육내용을 모두 데이터베이스화돼, 언제든지
부족
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을 반복 학습한다. 이때 발생하는 의문을 곧바로 교수에게 E메일로 보내면 빠른 시간 내에 답변을 받아볼 수 있다.이 모든 교육활동이 사이버공간에서 제대로 이뤄지기 위해 무엇보다 ... ...
성형수술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농도가 법적으로 제한을 받고 있어 이미 생긴 주름살의 치료용으로 사용되기에는 역
부족
인 면이 있다.따라서 피부가 많이 늘어진 경우에는 주름제거수술을 택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얼굴을 당겨서 늘어진 피부를 잘라낸다는 말이다. 하지만 이제 잔주름이 생기기 시작한 여성들에게 이 수술은 ... ...
벤처의 출발점 자신을 못견디게 하는 그 무엇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했다.그러나 처음 개발한 텍스트 중심의 인터넷게임(머드게임이라고함)은 개발경험
부족
으로 실패하고 말았다.수업료에 비해 너무나 참혹한 결과였다.그러던 중 지난해 베타(무료시험판)서비스를 한 헬브레스가 문화관광부로부터 8월의 우수게임으로 선정되면서 일말의 가능성이 보였다.그리고 1 ... ...
인류는 어디서 발생했는가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특징은 ‘눈두덩이가 밋밋하고 머리뼈가 얇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 정도 정보로는
부족
한 점이 많았다. 운좋게 머리뼈 화석이(그것도 온전하게 보존된) 발견되면 몰라도 팔뼈나 다리뼈 화석을 통해서는 머리의 모양을 추측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그래서 등장한 방법이 연대측정법이다. 초기에 ... ...
병이 병을 부르는 합병증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두개 또는 그 이상의 질환의 공존’이라고 설명하고 있다.하지만 이 설명으로는
부족
한 느낌이다. 웹스터 영영 사전을 보면 complication은 ‘일차적인 질병의 과정 중에 일어나는 두번째 질병 또는 비정상적인 상태’라고 기재돼 있다. 영한사전의 설명보다 더 이해하기 쉽게 다가온다. 의학적으로 ... ...
아픔 줄이고 아기 낳는 법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아니라 적당량의 이산화탄소가 필요한데, 과호흡을 하면 이산화탄소의 양이 절대적으로
부족
해져서 호흡중추가 그 조절능력을 상실하게 된다.호흡법은 바로 호흡연습을 통해 과호흡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다. 과호흡시에 나갔던 이산화탄소를 들이마시기 위해서 방법으로 두 손을 입 앞에 모으거나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절묘하게 맞아떨어졌다. 지금까지 완성한 것은 15종. 지난해에는 투자한 돈에는 턱없이
부족
하지만 4억원의 매출을 올리기도 했다. 사장으로 변신한 이 교수는 내년부터 바티칸성전, 피라미드 등 세계유산을 선보일 것이라고 말한다. 가톨릭에서 대희년(大喜年)이라고 부르는 2000년에는 바티칸을 ... ...
카텝신C
부족
하면 잇몸질환 발생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유전적 결함이 카텝신C 효소의 결핍을 가져온다고 결론지었다.카텝신C 효소가
부족
하면 각종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체계가 무너져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조직들이 신속히 파괴된다. 노인들이 잇몸질환을 자주 앓는 것도 카텝신C 효소를 생산해낼 능력을 점차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 ...
DNA고고학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못했기 때문이다. 하나의 샘플만으로 3구의 혈연관계를 밝힐 수는 없는 일이다. 여기서
부족
하나마 ‘절반의 혈연관계’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즉 아버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해도 최소한 같은 어머니의 혈족인지를 밝힐 수는 있다. 바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이용한 방법이다 ... ...
파괴된 뇌세포 되살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태아로부터 얻는 뇌조직 정도의 양으로는 수많은 환자를 감당할 수 없다. 그래서 이
부족
한 부분을 어떤 방법으로 메꿀 것인가가 과학자들의 당면한 관건이었다. 박교수는 신경기간세포를 유전공학 기법으로 처리해 대량으로 복제한 후 1년 이상 배양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했다. 사람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