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평소 나무속에 살면서 겨울잠도 원래 살던 나무 속에서 자는 종이다. 한참을 설명하던 그가 부러뜨린 나뭇가지를 땅위에 장작처럼 쌓은 뒤 “이렇게 해놓으면 알아서 잘 산다”며 자리를 떴다. 별도로 채집을 하지는 않았다. 마지막 팁은 갈라진 돌 틈, 혹은 돌 위에 얹어진 돌을 들춰보는 것이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7년 12호
- 기획한 시민을 위한 일반물리학 대중서가 출간됐다. 제목에는 ‘세상 무엇이든 물리로 설명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물리를 소개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책은 저자의 분신이기도 한 ‘바리교수’와, 함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민준’과 ‘서연’의 대화로 구성돼 있다. 40개의 흥미로운 ... ...
- Part 1. 레고 덕후 수학자의 신기록 도전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렸을 때부터 레고를 좋아했어요. 그때는 가지고 있는 레고 세트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 설명서대로 레고를 조립하고 나면 다시 분해해 다른 레고 블록과 막 섞었어요. 그리고 어디에도 없던 새로운 레고 작품을 만들었지요. 그 과정에서 저절로 창조적인 문제해결사가 되었답니다. 이처럼 다른 ... ...
- [수학공감] 수학문화를 퍼뜨리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나만 이해하면 되지만, 누군가에게 가르쳐 줄 때는 완벽하게 이해하고 있어야 제대로 설명해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라며, “가르치는 게 또 다른 학습이고, 학습의 정점인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놀이로 만나는 수학 행사를 통해서 수학문화가 자연스럽게 퍼지고 있었다. 체험으로 수학 ... ...
- Part 3. [변신 3단계] 수박으로 움직이는 자동차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박 중 95% 이상이 판매되기 때문에 당장 한국에 이 기술을 적용하긴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 과학책 보고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 만들었어요.”◀ 송백영(아주대 국방디지털융합학과 2학년)송백영 학생은 2010년, 중학교 1학년 때 수박씨로 바이오에탄올을 ... ...
- [과학뉴스] 유튜브로 공부한 AI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텍스트투액션(Text2Action)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이 인공신경망에 사람의 행동을 설명하는 문장을 입력하면, 스스로 언어와 행동 사이의 연관성을 배우는 원리다. 연구팀은 유튜브 영상에서 2만9770쌍의 언어와 행동 데이터를 추출해 텍스트투액션 네트워크를 학습시켰다. 그 결과 텍스트투액션 ...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에볼라 바이러스를 예로 들며 “병독성이 큰 생물은 대체로 생존 능력이 떨어진다”고 설명했다. 한때 치사율이 90%에 육박했던 에볼라 바이러스는 건조한 상태에서는 하루도 채 생존하지 못한다. 이 교수는 “한때 옛 소련이 에볼라 바이러스로 생물 무기를 개발하려는 연구를 진행했지만, ...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두 가지 함수의 값을 테스트함으로써 속도를 높이고 오류를 줄였다. 이것은 두 번째 설명할 새로운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가능케 했다. [ 장점 2 ] 셀프 플레이(self play) 강화학습구글 딥마인드 : 알파고 제로는 스스로가 교사가 되는 새로운 형태의 강화학습을 합니다. 시스템은 바둑 게임에 대해 ... ...
- [Issue] 심장마비에 기침이 효과?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는 내용이었죠. 다행히 ‘그 시간에 119에 구조를 요청하는 게 현명하다’는 설명 기사가 나왔지만, 왜 이런 루머가 돌았는지 그 이유는 여전히 궁금증으로 남아 있습니다. 기침심폐소생술 근거는?기침이 심폐소생술 효과를 낸다고 주장하는 측의 근거는 이렇습니다. 강한 기침을 하면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조직이 열에 이상하리만치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그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내 전공과 다소 동떨어진 영역이었지만, 아무튼 샘플이 아주 고온에서 서식하는 생물에게서 떼어낸 것이라는 말 정도는 이해할 수 있었다. 미생물학자 조 박사의 결론도 이와 비슷했다. 샘플에서 발견된 ... ...
이전2962972982993003013023033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