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래 노벨상 수상자 발굴하는 연구대회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자 기생충 연구를 소개했다고 한다. 당시 기생충 연구는 국내에서
전문가
가 거의 전무한 상태일 정도로 미개척 분야였다.그는 이후 그의 꿈대로 서울대 의대에 입학한다. 그리고 1997년까지 고려대 의대 교수로 재직하면서 평생을 기생충 연구에 몸바쳤다. 임교수의 퇴임사에는 ... ...
대덕 바이오벤처 공동체의 촌장 인바이오넷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위해 막바지 협의단계를 거치고 있다.대덕바이오커뮤니티의 공동연구 잠재력은
전문가
들 사이에서는 이미 인정받은 상태다. 최근 인바이오넷과 사업 협의차 방문한 미국의 다국적 기업의 한 간부가 대덕바이오커뮤니티에 입주한 기업들의 기술을 살펴본 뒤 “마치 첨단 바이오기술을 모두 망라한 ... ...
뱃살 빼려면 30분 이상 뛰어라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조깅이나 달리기를 하는 사람의 경우 30분 이상 달려야 한다고
전문가
들은 조언한다. 하지만 이제 막 운동을 시작한 사람이라면 가벼운 걷기가 더 좋다고 하는데….외모에 치명타이자 건강에 적신호인 뱃살. 뱃살의 정체는 무엇일까. 뱃살은 몸에 있는 체지방의 일종으로 ... ...
영원을 갈구하는 현대판 미라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우크라이나 하리코프 의대의 해부학자 블라디미르 비오로비요프와 모스크바 생화학
전문가
보리스 즈바르스키 박사는 레닌의 시신보존이란 임무를 맡았다. 두사람은 레닌 시신의 수분을 단계적으로 특수한 발삼향액과 교체해 넣었다. 시신을 마치 살아있는 사람과 같이 말랑말랑한 상태, 즉 ... ...
③ 망망한 우주에서 또다른 지구 찾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거대한 가스행성이기 때문에 생명체가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전문가
들은 이 가스행성 주위를 돌고 있는 위성들이 생명체가 거주하기 좋은 환경일 것이라고 예상했다.우주환경에서 만들어진 ‘원시 세포’과연 우주공간에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을까. 이에 대해 말하기 ... ...
IMT2000 그 환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형적 특성을 고려할 때 동기식보다는 비동기식 서비스가 국내 지형에 더 알맞다는
전문가
들의 견해까지 제시됐다.핵심기기 개발 지체미래에 대한 기대치는 늘 현실보다 한두 단계 더 높다. IMT2000이 가져다 줄 미래상 또한 마찬가지다. 2002년 5월부터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겠다던 계획표는 수정이 ... ...
슈뢰딩거의 생명이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모델, 생명체에서의 엔트로피, 물리학 법칙과 생명현상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이 책은 비
전문가
인 물리학자가 감히 생명의 문제에 대해 주장을 펴게 된다는 점에 대한 양해와 사과로부터 시작된다. 전공을 뛰어넘는 타 분야에 대한 간섭으로 비쳐질지도 모른다는 점을 고려한 조심스러움의 표현일 ... ...
중·고생 마라톤 풀코스 완주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침을 따르고 있다. 만 18세가 돼야 비로소 42.195km 마라톤을 완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문가
들은 18세 이전의 성장기 학생들이 마라톤을 할 경우 1회 1시간 반 이내로 해야 하고, 14세까지는 1주 3회, 15-18세는 1주 5회를 넘겨서는 안된다고 권고한다.어른과 다른 성장기 뼈왜 이러한 제한이 있을까. ... ...
세계는 지금 구제역 비상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원인은 그가 구제역에 걸린 젖소의 우유를 마셨기 때문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하지만
전문가
들은 대부분 구제역이 광우병과 달리 사람과 동물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전염병이 아니라고 확신하고 있다. 구제역 연구의 대표적 권위기관인 영국의 퍼브라이트연구소도 “사람은 구제역 ... ...
과학관 10개보다 중요한 Science Bookstart 운동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무엇일까.그의 대답은 명쾌했다. “과학대중화란 이제껏 인식돼 온 것과 같이 대중이
전문가
에 의해서 제공되는 과학지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는 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환경오염과 방사능 누출 및 최근의 생명윤리 문제 등 과학기술이 야기하는 사회적 문제에 대해 일반인도 적극적인 ... ...
이전
296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