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d라이브러리
"
부분
"(으)로 총 6,70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01
정확한 과학지식을 알리며 과학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을 세우는 역할과 책임의 상당
부분
이 과학잡지에 맡겨져 있다.오늘날 과학 선진국들이 선두그룹의 과학자 집단뿐 아니라 세계 수준의 과학잡지를 동시에 소유하고 있다. 국민의 정치적 안목이 높아야 능력 있는 지도자를 뽑을 수 있듯이 ... ...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01
분야에서 이룩한 쾌거다. 그리고 로봇 시스템 같은 첨단 연구 장비의 개발로 이 연구는 대
부분
자동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 기술이 적용되는 연구의 영역도 계속 넓어지고 있다.기능 잃거나 과해지는 유전자가 질병 원인각종 뇌질환은 다양한 원인 때문에 일어난다. 노화과정이나 환경 또는 유전적 ... ...
과학만 있으면 나도 천하장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나사를 죄는
부분
보다 손잡이
부분
이 더 큽니다. 그래서 나사를 죄는
부분
보다 손잡이
부분
이 더 크게 회전하게 되지요. 더 크게 회전하는 만큼 힘은 더 작게 드는 것이랍니다.도구, 하는 일의 양은 같다고?!지레대와 움직도르레, 빗면, 축바퀴는 모두 물체를 들어 올리는 힘의 세기를 줄여 주는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날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열은 압력이 높을수록 더 커진다. 이 압력은 압력을 가하는
부분
이 좁으면 좁을수록 더 강해진다. 강한 압력은 얼음 표면을 더 미끄럽게 만들어 빠르고 부드럽게 얼음판 위를 움직이게 해 준다.*유리판 위에서도 스케이트를 탈 수 있을까?스케이트를 아주 좋아하는 사람은 ... ...
북극곰도 겨울잠을 잘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3
변화가 적은 곳에서 겨울잠을 잡니다. 뱀은 굴이나 땅 속, 돌 틈에서 겨울잠을 자며 대
부분
의 개구리는 물 속, 땅을 팔 수 있는 두꺼비는 땅 속에서 겨울잠을 잡니다. 나뭇잎 아래에서 겨울잠을 자는 청개구리는 온 몸의 65%가 얼음으로 바뀌고 심장이 멈춘 채로 겨울을 납니다. 말 그대로 얼었다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3
아니라‘성형규제’가 문제가 되는 거였지.나는 네가 다른 학교에서 왔기 때문에 그
부분
을 잘 모를까봐 비밀쪽지를 보낸 거였어. 참, 너랑 나는 낮에 학교에서의 복장 그대로였는데 나리는 무지갯빛 레이스 잠옷을 입고 있었잖아.내 눈에 그게 좀 거슬리기도 했나봐. 내가 네게 다음과 같은 쪽지를 ... ...
기록을 오래 남기고 싶다면 한지를 쓰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3
신기한 것은 그렇게 오랜 세월 동안 색깔이 조금 변했을 뿐 종이에 좀이 슬 거나 썩은
부분
이 없다는 거예요. 그것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이 우리 민족 전통의 한지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랍니다.한지는 글을 쓰고 책을 만들 때뿐만 아니라 문에 바르는 창호지, 방에 바르는 장판지 등 다양한 용도로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2
그렇기 때문에 빙산이 있는 곳을 항해하는 배들은 물 속에 숨어 있는 나머지 거대한
부분
을 주의해야 하지요. 빙산의 일각을 무시해서는 큰 코 다친답니다.살랑~살랑~ 바람이녹인다!선풍기 앞에서 아이스크림을 먹으면 아이스크림이 더 빨리 녹더라구. 바로 이 원리를 이용해 얼음에 바람을 불어 ... ...
'개코'란 별명이 괜히 나왔겠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2
개는 사람보다 최소 1만 배 이상 냄새를 잘 맡는다고 하는데요. 그것은 냄새를 맡는
부분
인‘후각상피’란 곳의 면적이 무려 130㎠나 되고 후각 세포도 2억 개가 넘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후각상피 면적이 3㎠, 후각 세포가 약 500만 개인 것과 비교해 보면 개의 후각이 얼마나 뛰어난지 알 수 있지요.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2
그리며 해를 공전하면서 많은 먼지와 티끌을 우주공간에 뿌려 놓습니다. 혜성이 지나간
부분
을 다시 지구가 지나가면 먼지와 티끌이 지구 중력에 이끌려 떨어지게 되지요. 이렇게 만들어진 유성들이 마치 비처럼 무수히 많이 떨어지는 것을 유성우라고 한답니다. 유성우를 제대로 보려면 불빛이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