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그의 가슴 깊은 곳에서 자그마한 흥분이 물결처럼 일렁거렸다. 이때가 지금으로부터
꼭
2백년 전인 1801년 1월 1일이었다.다음날 다시 밤하늘의 똑같은 지역을 망원경으로 살피자 새로운 천체가 약간 움직인 것처럼 보였다. 진짜 움직인 걸까 하는 약간의 의문이 생겼지만 그 다음날 이런 의심은 ... ...
3. 백두산에서 만나는 우리꽃 기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틀림없다. 사진에서만 볼 수 있는 아주 희귀한 식물이다. 손바닥난초는 그 뿌리가
꼭
아기들의 통통한 손을 쫙 편 모양이다.또 노란 바람개비도 보인다. 약간의 습기가 있는 곳에는 큰물레나물이 피어 있다. 큰물레나물은 다섯장의 꽃잎 모양이 바람개비 또는 물레와 닮아서 이런 이름을 가지고 있다 ... ...
기억이 이식된 복제인간 6번째 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이 분야에 종사하는 과학도나 이 분야에 관심있는 미래의 과학도들이 이 영화를
꼭
봐줬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다. 저도 개봉하면 연구원들과 다 같이 볼 생각입니다.하하하~성환_ 요즘 공상과학영화의 경향이 예전에는 먼 미래였는데 지금은 가까운 미래로 바뀌어 가는 것 같아요. 복제라는 것이 ... ...
보물 찾아 떠나는 거울나라 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가려진 뒤쪽은 실제로는 내부 바닥이 거울에 반사된 것이다. 그런데 거울에 비친 상이
꼭
우유팩 뒤편에 위치하게 돼 상자의 뒤편인 것처럼 보인다. 이로 인해 거울이 있다는 것을 눈치챌 수 없다. 그리고 돈이 떨어지는 곳은 거울의 뒤편이기 때문에 구멍으로 들어가자마자 돈이 사라지는 것처럼 ... ...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내년 말쯤이면 아이가 태어날 것”이라고 밝혔다.이번에 알려진 복제인간 실험이
꼭
성공한다는 보장은 없다. 복제배아가 만들어져 임신이 성공해도 복제연구의 특성상 임신기간 중에 유산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사건은 사람이 복제대상의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에서 ... ...
암 일으키는 돌연변이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DNA 3차원 구조를 세계 최초로 발표했다.DNA손상에 돌연변이가 일어나는 단계를 알기 위해
꼭
필요한 3차원 구조연구 결과는 그 이전까지 전혀 없었는데,이 연구결과로 이 분야에 큰 돌파구를 열게 됐으며 최근 자외선에 의한 돌연변이 발생원인이 최초로 규명됐다.원자수준에서 DNA와 단백질의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신경과학자들에 따르면, 뉴런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달하는데 있어 이런 소음이
꼭
필요한 경우도 있다. 1996년 미국의 브루스 글룩만 박사와 그 동료들은 쥐의 뇌에서 단기기억을 담당하는 ‘해마’라는 부위의 조직을 떼어냈다. 이 조직에는 수많은 뉴런이 얽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데, ... ...
③ '유전자가 변형된 콩' 내년부터 표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표시를 해야 하는 결과가 나온다. 원재료와 가공품 표시제 담당기관의 협력이
꼭
필요하다는 것을 이러한 사실들에서 잘 알 수 있다.수출 위해서도 안전성 고려해야유전자변형농산물 표시제는 소비자들의 알 권리와 상품 선택권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유전자변형 표시제 ... ...
졸음없이 알레르기 치료하는 약물요법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알레르기 증상이 조금만 나타나도 약을 써야 하나요’라는 질문과 ‘예방약을
꼭
써야하나요’라는 질문이 있다. 알레르기는 불이 나는 증상과 유사하다. 알레르기 증상이 기관지나 코에 불이 난 것으로 생각해보면 우선 불이 안나도록 하는 것이 제일 좋고, 일단 일어나면 빨리 끄는 것이 좋다 ... ...
2. 오염된 지구를 되살리는 첨병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미생물 처리로는 한계오염물질을 깨끗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화학적인 변환과정이
꼭
수반된다. 지금까지 가장 널리 이용된 방법은 생물체를 이용한 생물화학적인 처리다. 그러나 60억 인구가 배출해내는 엄청난 양의 오염물질을 미생물을 이용해 처리하기에는 그 처리 속도에서 한계를 보이게 된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