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수
계산
세기
회계기록
빚
d라이브러리
"
셈
"(으)로 총 5,419건 검색되었습니다.
감정 앗아가는 판데믹 바이러스 인베이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인구는 20억명으로 이 가운데 2.5%가 스페인독감으로 죽었으니 그 파괴력이 어마어마한
셈
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57년 아시아독감으로 약 600만명의 환자가 발생했다는 기록이 있다.외계생명체의 두뇌 침입다른 생명체가 인간의 뇌를 정복하는 방법은 크게 정신적인 경로와 물리적인 경로로 나눌 수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과거 속으로1993년 6월 4일국내 첫 과학 로켓 서해안에서 발사‘과학 1호’는 우리 기술로 만든 최초의 과학 관측 로켓이다. 이 로켓은 무게 1.3톤, 지름 42㎝, 길이 6.72m의 1단 로 ... 자주 찍을 수 없다. 그러나 T선은 에너지가 낮기 때문에 몸에 해롭지 않다. 암을 찾아 내는 착한 빛인
셈
이다 ... ...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약 11g을 배출했다. 종이컵 1개는 자기 몸무게의 2배에 이르는 탄소발자국을 남기는
셈
이다. 자세한 계산 과정은 동아사이언스 홈페이지(dongaScience.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1. 펄프 수입● 1년 동안 약 7만 톤의 펄프 수입.종이컵 약 120억개 생산.▷ 펄프 1톤으로 종이컵 약 17만1000개 생산.● 펄프 1톤 ... ...
가을 밤하늘 '외계인의 고향' 찾기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예상한다. 공허하고 조용할 듯 보이는 은하의 세계에도 약육강식의 법칙이 통하는
셈
이다.이달의 천문현상_소행성 세레스를 찾아보자. 1801년 1월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주세페 피아치가 황소자리에서 새로운 행성을 발견했다. 당시 천문학자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행성이 있다고 생각하고 이를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느려진다. 실시간으로 즐기는 짜릿한 3차원 디스플레이 레이싱 게임은 꿈도 못 꾸는
셈
이다.김 교수팀은 이미지 9장을 모두 만드는 대신 이미지를 2장만 만들고 대신 영상의 깊이 정보를 기록했다. x축과 y축으로 평면을 만든 뒤 z축 값을 넣어 입체를 만드는 원리다. 이 정보를 활용하면 나머지 7장의 ... ...
선조의 지혜 김칫독, 현대기술의 승리 김치냉장고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다른 미생물은 맥을 못 추는 1℃에서도 잘 산다. 즉 가장 맛있는 김치 온도는 1℃인
셈
. 1℃를 지키기 위해 선조들은 김칫독을 땅에 묻었고, 현대인은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보관한다. 한국인의 김치 사랑은 기술의 힘을 빌어 대대손손 이어진다 ... ...
열대 해양생물의 천국 미크로네시아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영향을 미친다. 따지고 보면 이 지역의 기후가 한반도의 날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셈
이다.한반도 연안의 수온변화도 이 지역 주변 환경과 연관됐다는 게 과학자들의 생각이다. 북태평양을 지난 해류가 북적도, 쿠로시오, 대만 해류로 연결되면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준다는 것. ... ...
PART2 2007 대선은 과학전쟁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1992년 대선에서 과학기술이 경제와 결합했다면 2004년에는 대중의 종교적 신념과 충돌한
셈
이다.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핵심지지층인 보수 기독교신자를 겨냥해 배아줄기세포 연구를 제한하는 공약을 내놓았다. 그는 줄기세포 이슈를 통해 자신이 신앙심 깊은 지도자라는 이미지를 굳히고자 했다 ... ...
땅이 둥근지 몰랐던 옛사람, 경위도 개념 있었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東西偏度)라고 불렀다. 경도라는 말을 쓰지는 않았지만, 개념은 완전히 알고 있었던
셈
이다. 조선시대에는 한반도의 시간이 명나라나 청나라의 수도였던 북경보다 42분 정도 차이가 나는 것으로 알려졌다.원양항해가 일반화되면서 유럽에서는 16세기부터 경도측정법을 개발하는 일이 과학계의 ... ...
외래종 새가 하와이 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공헌하고 있다는 것. 멸종한 자생종 대신 외래종이 새로운 농부로 활약하고 있는
셈
이다.포스터 박사는 “자생종은 ‘착하고’ 외래종은 ‘나쁘다’는 일반인의 편견을 깨주는 연구결과”라고 강조했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