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뉴스
"
세상
"(으)로 총 8,4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만든 세작(細雀)은 고급 잎차다. 위키피디아 제공 '김해의 백월산에는 죽로차가 있다.
세상
에서는 수로왕후인 허씨가 인도에서 가져온 차씨라고 전한다(金海白月山有竹露茶 世傳首露王妃許氏 自印度持來之茶種).'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에서 단골집 근처에 내 취향에 더 맞는 ... ...
바비큐가 될 뻔한 비단뱀
팝뉴스
l
2018.12.11
불맛을 볼 뻔 했던 뱀은 포획 전문가 덕분에 숲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 ...
털 깎은 강아지, 초현실적 비주얼
팝뉴스
l
2018.12.10
것도 좋지만 강아지가 춥거나 불편할 것 같다고 네티즌들이 말한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 ...
충격적인 ‘범죄자 몽타주’
팝뉴스
l
2018.12.10
범인을 잡는 것은 가능할까. 충격적일 정도로 허술한 범인 몽타주이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 ...
나를 훔쳐보는 초대형 바퀴벌레?
팝뉴스
l
2018.12.09
끈다. 또 완벽한 착시 또는 망상이라면 비웃은 네티즌도 적지 않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온라인에 ... ...
읽다 보면 저절로 수학지식이 쌓인다! 인기웹툰 '수학 잘하는 법'
수학동아
l
2018.12.09
수학자의 고뇌에 대해서도 풀어냈다. 작가는 빌라니의 책을 자주 읽으며 수학자가
세상
을 느끼는 방식이나 수학자의 고뇌에 대한 힌트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를 주인공들이 느낀다고 생각하면서 스토리를 짰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수학 잘하는 법’ 속 명언들을 따라 읽고 있으면 진짜 ... ...
대형 마트에서 벌어진 격투기
팝뉴스
l
2018.12.09
공공장소에서 싸움질을 한 이 두 사람에 대한 지탄이 쏟아진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온라인에 ... ...
지하실에서 발견된 좀비 거미
팝뉴스
l
2018.12.08
두려움을 느낀다고 말한다. 사진과 설명이 모두 공포감을 일으킨다. ※ 편집자주
세상
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스마트폰이 일상 생활에 들어오면서 사람들은 이런 ‘흥미로운’ 일상을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했습니다. 지난 2016년 9월에는 국제천문연맹(IAU)에 요청해 친구였던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
을 떠난 1991년 발견됐던 소행성 17473의 이름을 바꾸기도 했습니다. 화성과 목성 중간에 지름이 3.5㎞에 불과한 소행성17473이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가 된 것입니다. 전설적인 스타로 기억되는 프레디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박사후연구원으로 연구를 하다가 베일리 교수와 결혼했다. 베일리 교수는 2001년 암으로
세상
을 떠났다. 필자(오른쪽)는 프랜시스 아놀드 교수 연구실에서 2010년부터 1년간 박사후과정 연구원으로 지냈다. 사진은 2011년 4월 26일 캘리포니아공대 실험실 건물 앞에서 아놀드 교수와 함께 촬영했다. ... ...
이전
297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