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0,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명정보학, 게놈 데이터 더미에서 보석 캔다
과학동아
l
201006
정보가 분석돼 나오는 것은 아니다. 2000년 6월 인간게놈 초안이 발표됐을 때 이 성과를
가능
케 한 가장 핵심 원동력은 당시 셀레라사의 크레이그 벤터 박사가 이용했던 산탄총기법을 활용한 해독법이었다. 이 방법의 핵심은 생물학이 아니라 정보기술(IT)이었다. 이 기법으로 해독된 수십억 개의 DNA ... ...
520일간 떠나는 모의 화성 여행
과학동아
l
201006
지구 밖 천체에 발을 디딘 일이 없는 인류에게 화성이야말로 장거리 우주여행의
가능
성을 열어줄 최적의 장소이기 때문이다.ESA는 러시아 모스크바 인근의 한 시설에서 유럽과 러시아, 중국에서 지원한 6명이 참여한 가운데 화성에 사람이 다녀올 수 있을지를 가늠하는 격리실험을 520일간 진행할 ... ...
네안데르탈인 후예 지금도 살아 있다
과학동아
l
201006
상당수 사람들의 조상이라는 사실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이는 두 종이 서로 짝짓기했을
가능
성이 없다는 통설을 뒤엎은 결과다.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스반테 페보 박사팀은 크로아티아의 빈디자 동굴에서 발견된 4만 년 전 네안데르탈인(Homo sapiens neandertalensis ) 뼛조각으로 게놈(유전체)지도를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06
새와 같은 형태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제 군사작전에 투입될 때 완벽한 위장이
가능
하다.한 교수는 아직까지 정찰임무나 광역감시는 고고도 정찰기를 사용하지만 1km 반경에서 벌어지는 시가전이나 테러임무에는 조만간 날갯짓 비행체를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날갯짓 비행체는 ... ...
멸종위기종 산양의 복원 현장 설악산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06
산양이 몇 마리가 살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데 효과적인 도구이고 집단 간 DNA 분석이
가능
하기 때문에 근친교배 정도를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연구팀은 대구지방환경청의 도움을 받아 경북 울진에 살고 있는 산양의 시료를 주기적으로 얻고 있다. 산양이 지나가면 털을 채집할 수 있도록, ... ...
첨단 바이오 자원으로 거듭나는 대나무
과학동아
l
201006
쉬운 목질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 대상은 대나무가 될
가능
성이 높다. 대나무를 이용한 에탄올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창원대 화학과 신동수 교수도 “최근 수산기가 포함된 이온성 액체를 흘려보내 셀룰로오스의 결합을 약하게 만들거나 대나무를 아주 잘게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06
일 같구나. 그러려면 어떤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지에 대해 과학 기술자들과 대화가
가능
할 정도로 과학지식을 쌓아야 하겠지?” N학생은 자신이 직접 기술을 개발하지는 않지만 개발된 기술을 이용해 사업을 하고 싶은 꿈이 있다. 그런 꿈을 갖고 있는 사람은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독서활동도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06
비롯해 여러 사람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4가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키는 투표방식은 불
가능
하다는 사실이 증명됐다. 그러니 우리는 완전하지 않은 투표방식에 만족하고 살아야 한다. 투표는 인간의 전유물이 아니다비록 완벽하진 않지만 투표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정치적 행위라는 ... ...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06
바꾸고, 또 유사시에 돌아가지 않도록 렌즈로 세게 누르다 보니 각막에 상처가 생길
가능
성이 높다. 또 최근에 개발되는 렌즈들이 산소투과율이 좋긴 하지만, 렌즈를 너무 오랜 시간 착용하거나 렌즈가 눈에 너무 단단하게 붙으면 각막에 산소가 부족해져 부종 이 생길 수 있다.렌즈 보존액이나 ... ...
사람은 죽어서 ‘불멸의 업적’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1006
에세이를 모아 책을 펴냈다. 저자들은 과학이 기술과 문학, 예술의 만남이며 소통이
가능
한 창의성이라고 말한다. 달팽이 연구가로 유명한 권오길 강원대 생물학과 명예교수와 이인식 과학문화 연구소장을 비롯한 22인이 생각하는 과학의 의미와 과학자가 되는 법, 과학으로 세상을 읽는 방법을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