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족
세대
친척
일가
집
살붙이
가설
d라이브러리
"
가정
"(으)로 총 3,438건 검색되었습니다.
VDT증후군의 실체를 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일정량의 전자기장이 형성되면 이로 인해 인체에 유도전류가 흘러 생체를 교란시킨다는
가정
을 할 수 있을 뿐이다.X선을 포함한 방사선도 상황은 조금 다르지만 불확실하기는 마찬가지. 모니터에서 방출되는 X선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방사선량에 비해 워낙 미약한 수준이라 크게 문제가 되지 ... ...
PART Ⅲ 전문가시스템의 성공사례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추론 모듈을 이용하여 문제해결 각 단계에서 추론 결과에 대한 원인(why), 방법(how),
가정
(what-if)을 잘 설명해 줄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다.전문가시스템 구축 언어를 이용하여 전문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식을 잘 습득하여야 하는데, 전문가로부터 지식을 습득하여 전문가 시스템을 ... ...
스모그로 소문난 「공해의 도시」런던 LA 서울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서울의 대기오염 형태는 석탄계 연료의 사용이 많을 때 발생하는 런던형에 가깝고,
가정
용으로 사용되는 연탄이 가장 큰 오염원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환경처를 비롯한 정부의 대책도 주로 아황산가스를 겨냥하고 있다.그러나 서울의 자동차 수가 1백만대를 넘어섰고, 여름철에도 서울의 ... ...
PARTⅠ 뉴미디어란?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컴퓨터나 TV수상기에 의해 화면에 나타나는 신문(electronic newspaper). 팩시밀리에 의해
가정
으로 배달되는 팩시밀리신문도 있다.80년대초부터 다우존스 D&B 등 정보회사와 로이터통신 뉴욕타임즈 월스트리트저널 등 통신·신문사들이 독자적인 DB망을 구축하고 정보판매에 나서고 있다. 일본에서는 ... ...
알레르기질환의 주범 진드기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대해 알레르기반응을 보인 반면 천식환자들의 경우는 45~85%나 반응을 보인 것이다.
가정
에서 진드기가 특히 많이 서식하고 있는 곳은 침대인데, 이곳은 습기가 많고 음식물이 풍부해 진드기들에게 최적의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진드기가 가장 좋아 하는 음식물은 침구나 매트리스에 ... ...
PART II 세계의 뉴미디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일본이 자랑하는 뉴미디어 분야.일본은 동경올림픽 이후 35㎜ 필름 영화에 상당하는
가정
용 영상수신기를 개발한다는 목표아래 우선 TV 프로그램 제작규격을 개발했고, 전송대역의 제한조건을 만족하는 전송규격의 완성과 수신기를 개발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20여년간 70억달러를 투자하여 VLSI타입의 ... ...
PART IV 뉴미디어와 인간생활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주부의 일손을 크게 덜 수 있다. 그래서 가사에 얽매였던 시간은 여가로 대체돼
가정
주부들은 개인의 창조적 의욕을 고취할 수 있는 여가생활을 즐길 수 있고 어린아이와의 대화기회나 사회로의 진출기회를 확대할 수 있다.더욱이 우리 생활의 일부분이 되고 있는 TV에 음성다중방송 문자다중방송 ... ...
「삐삐」의 친구들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곳에 사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사용범위가 날로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최근에는 일반
가정
용 승용차는 물론이고 열차 버스 등 대중 교통수단에까지 장착돼 있다.또 전화기의 종류도 차체 고정형에서 숄더형, 다시 핸디형으로 바뀌어가고 있는 추세다. 점차 소형화되고 있는 것이다. 자동차 전화 ... ...
PART III 우리나라의 뉴미디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기상 관광정보 등을 얻을 수 있고 CATV를 통해 병원예약 관광예약 등이 가능해야 한다.
가정
에서 사용하는 전력 가스 수도 계량을 자동검침하는 텔레미터링 시스템과 화재발생 등 가입자의 이상 상태를 경보신호로 CATV 방송국에 자동 전달하는 서비스도 포함된다.다양한 채널(보통 CATV는 10~30개의 ... ...
작은 꼬인 빛 Tiny Twisty Light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확신하고 있다.그러면 당신이 우리가 이해할 수 있을만큼 아주 먼 은하를 연구한다고
가정
하자. 그 빛은 우리를 향해 몇 백만광년 이상 여행하며 그렇게 하는 과정에서 때때로 은하들의 두꺼운 성단을 통과할지도 모른다. 그 성단의 중력장은 먼 은하에서 오는 약한 빛에 작은 꼬임을 끌어들일 수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