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심해어에겐 초시력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단백질 덕분이에요. 최근 스위스 바젤대학교 연구팀 101종의 물고기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 대부분의 물고기는 한두 종류의 옵신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반면, 심해어는 최대 38종의 옵신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었어요.연구를 이끈 발터 잘츠부르거 박사는 “심해어는 까만 잉크 같은 심해 속에서 ... ...
[만화뉴스] 테니스 선수들의 괴성, 상대방에게 영향을 미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이때 각 영상의 소리 크기를 달리하며 선수들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분석했지요. 그
결과
선수들은 같은 영상이라도 소리가 클수록 공이 더 멀리 날아온다고예측했어요. 연구를 이끈 플로리안 뮬러 박사는 “이번 연구로 괴성은 상대 선수가 공의 궤적을 예측하는 데 영향을 준다는 것이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1m)인 탄소나노튜브를 만들어 일정한 전압을 걸어준 뒤 전기저항의 변화를 측정했다. 그
결과
줄이 진동하며 소리를 내고, 더 이상 전압을 걸어주지 않더라도 진동은 멈추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진동하는 줄은 약 231MHz의 초음파를 냈다.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 안의 전자가 진동을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시험한
결과
, 95%의 정확도로 뒤따라오는 지진의 규모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0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606-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살아있는 정자의 줄기세포(정원줄기세포)를 분리해 새끼 산천어의 복강에 이식했다. 그
결과
무지개송어의 줄기세포가 산천어의 복강에서 알과 정자로 분화했고, 이를 추출해 수정시켜 무지개송어를 얻었다.이 연구사는 줄기세포 복원기술을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인 민물고기 미호종개의 ... ...
세포 서바이벌 결정하는 산소농도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매우 중요했다. 대표적인 예로 여러 암세포에서 HIF-1α의 발현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
가 있다. 암세포는 정상 세포보다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산소 소비량이 훨씬 많다. 또 좁은 공간에서 높은 밀도로 증식하므로 저산소 상황에 직면할 수밖에 없다. 이때 HIF가 증가하면서 세포의 산소 이용 효율을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그는 어제 막 입사한 신입사원처럼 열정이 넘쳤다. 이번 상은 이런 열정이 빚어낸
결과
였다. 그의 삶은 크고 작은 도전의 연속이었다. “자원개발이라는 단어가 주는 멋짐(?)때문에” 이 분야에 발을 들였다가 1995년 한국가스공사 연구개발원에 입사했다. 당시 최초의 여성연구원이었다. 안전화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이
결과
가 무한한 정수 체계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9월 7일 온라인 논문 게재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올라왔습니다. 이전까지 쌍둥이 소수 추측 증명에 가장 앞선 성과를 거뒀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유한한 ... ...
[교육뉴스]서울 초3·중1 내년부터 ‘기초학력 진단검사’ 치른다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를 공개했습니다. 그
결과
고등학교 2학년 국어 과목을 제외한 모든 과목에서 학습 능력 미달 판정을 받은 학생의 비율이 예년보다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라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이문제를 해결하고 ‘단 한 명도 포기하지 않는 ... ...
몬스터는 억울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선천적 전신성 다모증이 있는 가족과 이 증상이 없는 친척들의 게놈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요. 늑대인간 이야기를 만들어 낸 데에는 ‘광견병’도 한몫 했어요. 1881년 프랑스의 미생물학자 루이스 파스퇴르가 광견병 백신을 개발하기 전까지 광견병에 걸린 개나 늑대에게 물린 사람은 거의 100%로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