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무진장의 자원이용, 공업화 5단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가능하다. 대규모 건설자재를 월면에 수송하는데 사용될 전망, 이 시스템은 궤도에
남아
있는 제 1단추진부와 화물에 장착된 소형추진기관으로 구성된다. 1단추진부가 궤도속도를 감속시켜 화물모듈을 분리시키면 화물은 자유낙하된다. 나중에는 화물에 장착된 추진기관이 낙하속도를 늦추면서 ... ...
현대과학이 밝혀낸 5천년전 알프스 '얼음인간'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청동기 시대인 약 4천년 전이라고 늦추어 잡았었다.방사성 동위원소 연대 측정으로
남아
있는 식물들과 다른 재료들에 대해 측정한 결과 '얼음 인간'이 살았던 시대는 5천1백년에서 5천3백년 전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그때는 이미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유역에서 수메르의 고대 도시들이 생겨났고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여부보다 솔잎란이 먼저 눈에 띄었다고 한다. 이 솔잎란은 지금 서울대에 표본으로
남아
있는데, 훗날 이 제자가 그 표본에 '구사일생'이라 적어놓고 갔더라고.아열대림을 이루고 있는 한림원에서는 선바위고사리 세잎고사리 쇠고비고사리 도깨비고비고사리 곰비늘고사리 넉줄고사리 갯마치수염 ... ...
목성·혜성 충돌 그 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충돌 후의 결과를 알아내려고 노력할 것이다.그러나 아직 인류가 목격치 못한 현상도
남아
있다. 아직 축제가 끝나지 않은 것이다. 그 중의 하나는 목성 테의 생성 가능성이다. 호라니 박사는 새로운 테가 3-4년 후에 생성될 것이라고 믿고 있다. 우리나라도 천문대에서 하루빨리 적외선 카메라를 ... ...
목성고별관측 - 혜성충돌자국선명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견줄만한 것까지 있었다. 그리고 이 검은 반점들은 바로 소멸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남아
있었으므로 목성 표면에서 한꺼번에 세개의 반점까지를 볼 수 있었다.이 목성이 이달 21일에는 봄의 대곡선의 끝에 위치하는 처녀자리의 1등성 스피카에 접근하게 된다. 이각이 13분(보름달의 지름은 30분) 정도 ... ...
세계 최대 규모 입자가속기 유럽 설립 예정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유럽 핵물리 연구센터(CERN) 19개 회원국 가운데 영국과 독일을 제외한 열일곱 나라가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 Large Hadron Collider)의 건설에 찬 ... 총 책임자인 크리스토퍼 레벨린 스미스는 "연기 결정이 매우 실망스런 일이긴 하지만
남아
있는 문제 역시 조만간 해결되야만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영원한 수수께끼, 성(性)의 기원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성이 생식의 수단으로 자리잡게 된 이유는 생물학이 풀지 못한 최대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생물학자들이 성의 기원을 설명하는 논리 중에서 가장 영향력이 있는 것은 성이 진화의 다양성을 증진시키고 그 속도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비롯되었다는 주장이다. 유성생식으로 생기는 자식은 ... ...
생물- 인류의 조상, 과연 원숭이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그러나 퇴화해서 쓸모가 없어진 꼬리뼈에도 아직 꼬리의 운동을 맡고 있는 근육은 약간
남아
있다.③ 동이근: 개나 토끼 등은 귓바퀴를 움직여 방향을 바꾸거나 할 수 있다. 사람의 귀에도 그런 근육이 10개 이상 있기는 하지만, 실제로 귀를 잘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은 적다.④ 이: 사람은 불을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인류의 도시문명이 사라지고 난 다음 야만의 상태로 농사를 짓고 있는 현생인류들이
남아
있다. 이들의 숫자는 현격하게 줄었으나 이들은 자연에 의존해 사는 것이 가장 건강한 삶이라고 믿는 집단이다.1천년의 세월이 지나면 의술이 대단히 발달, 인간의 기관 중에 약점이 있는 부분은 그것을 ... ...
한국곤충-삶의 신비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전흉선이 아니라 표피조직인 것으로 밝혀졌듯이 아직도 많은 변태 현상이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외시류나 내시류 모두 탈바꿈의 최종단계인 성충으로 변화하는 것을 주의깊게 관찰해 보면 종마다 일생 중 최후의 단계는 번식기라는 점이다. 그래서 종마다 성충이 나타나는 출현시기는 거의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