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d라이브러리
"
수준
"(으)로 총 5,615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질환 유전자만 콕 집어낸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시급하다. 지금까지 뇌질환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가 수월하지 않았던 것은 인간게놈
수준
에서 접근하는 총체적이고 종합적인 연구 방법이 부족했기 때문이다.뇌질환 원인 연구의 새로운 방법을 소개하기에 앞서 대표적 뇌질환인 치매에 대해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을 소개하려고 한다. 새로운 연구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훈련과정에서 미국과 러시아의 훈련센터를 오가야 하기 때문에 언어 구사 능력도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한다.러시아 측은 온건한 품성과 지적능력을 강조하고 있는 편이다. 수평방 미터안에서 며칠간 생활하다 보면 스트레스로 인해 일어날지도 모를 사고와 불의의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기본 ... ...
3. 아시아로 세계로 아웃 오브 코리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말해 상당한 세대 동안 안정화 과정이 필요하지만 섞일수록 우세해진다는 것이다.유전자
수준
에서 열성 유전병 인자를 정상과 열성 유전자를 각각 하나씩 가진 이형접합자로 지닌 사람은 2개 모두 정상유전자를 가진 동형접합자로 지닌 사람보다 특이한 환경 조건에 적응하는데 유리한 경우가 많다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하지 못했다.이 교수는 “한국에 큰 지상망원경이 있다면 분광 관측을 통해 논문의
수준
을 한층 높일 수 있었을 것”이라며 아쉬워했다. 이 교수팀의 논문이 나온 직후 이탈리아 연구팀은 실제 망원경 관측을 통해 헬륨의 함량이 이론치보다 더 높다는 연구 결과를 논문으로 제출했다. 은하수에서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배출할 수 있는 길은 바로 국민의 과학
수준
을 높이는 일이다. 국민의 과학
수준
은
수준
높은 과학잡지에 의해 높아지는 것이 아닐까? 20회 생일을 맞는 한국의 대표 과학잡지 과학동아에 과학 한국의 희망찬 미래를 걸어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PART1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해외에 건설하는 게 간절한 소원”이라며 “그러면 우리 천문학이 우물 안 개구리
수준
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별을 따던 소년이 별 박사가 된 후 또 다른 꿈을 꾸고 있는 것이다. 청소년에게청소년기에 하고 싶은 것을 직접 해보는 게 중요하다. 방학을 이용해 시인이나 작가가 될 ...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회원국 등 38개의 선진국은 단계적으로 온실가스의 배출량을 줄여나가 2012년에는 1990년
수준
보다 평균 5.2%까지 낮춰야 한다. 규제 대상 온실가스는 이산화탄소를 비롯하여 메탄, 아산화질소 등 여섯 가지다. 그러나 2001년 이산화탄소 배출량 1위인 미국이 화석연료에 의존하는 자국의 산업을 ... ...
철새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검사하고 있죠.Q 그럼, 조류독감에 대해서 겁먹을 필요 없겠네요.A 네, 우리나라의 의료
수준
이라면 그다지 겁낼 필요 없어요. ‘적을 알고 나를 알면 절대 위태롭지 않다’는 말이 있죠. 조류독감이 발생하는 d원인과 감염 경로를 알고 있기 때문에 대비를 잘 하면 문제될 게 없어요. 그리고 치료약도 ... ...
우리를 위협하는 기상현상 태풍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6호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깨달은 선진국들은 2008년~2012년 사이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
보다 5.2% 줄이는 것을 목표로 정했지요. 우리나라의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2000년 기준으로 4억 3400만 톤으로 세계 9위나 된답니다. 따라서 우리도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한 실천의 움직임을 보여 줘야 해요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남아 있나요?A 이번 연구 결과는 환자 치료라는 목표를 기준으로 하면 ‘절반의 성공’
수준
입니다. 아직 여러 가지 실험들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첫 번째로는 배아줄기세포가 환자의 체세포로 만들어져 면역 거부 반응이 없다고 하더라도 일부 유전자가 말썽을 일으키지 않는지, 체내에 이식된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