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담수담] 마음의 공식을 알면 수학 공식이 보인다!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수학을 잘 못해서 속상하다고요? 수학을 잘하는 사람에게 질투가 난다고요? 괜찮습니다! 조난숙 한성대학교 상상력교양대학 교수님도 그랬거든요. 수학이 마냥 좋아 수학교육과에 입학했지만, 그곳에서 진짜 ‘수학 천재’들을 보며 질투심이 생겼죠. 하지만 수학 천재가 아니어도 세상에 할 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짝수 치환과 홀수 치환 양의 정수 n에 대해, 1부터 n까지의 정수들을 모아놓은 집합을 Xn이라고 하자. 이때 Xn의 원소들을 차례대로 나열하는 방법을 ‘치환(permutation)’이라고 부른다. 하나의 치환은 Xn에서 Xn으로 가는 일대일 대응으로 생각할 수 있고, 따라서 하나의 함수 σ:Xn→Xn로도 이해할 수 ... ...
- 명화 속 빛의 비밀, 데이터는 알고있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수만 년 동안 인류는 그림을 그렸다. 제대로 된 도구가 없을 땐 동물의 뼈를 들고 동굴 벽에 그림을 그렸고, 종이가 없으면 파피루스 식물로 그와 비슷한 ... 작품의 S값을 연결한 그래프의 기울기가 완만하다. 이는 작품 활동 내내 비교적 일관된 스타일의 그림을 고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 ...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우리우리스 종족이 지구 궤도 근처에 찾아 온 이유는 최강의 생물을 찾기 위해서였다.“의원님, 복코코 종족의 자료에 따르면 이 행성 최강의 종족은 사람이라는 동물입니다.”우리우리스의 우주선에 타고 있던 보좌관이 담당 의원에게 말했다. 복코코 종족은 호기심이 왕성한 종족으로 은하계 전 ... ...
- [특집] 인터뷰. 윤승철 탐험가가 밝히는 무인도에서 살아남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안녕하세요. 어수동 탐험 기자 정만아입니다. 7일 동안 무인도에서 재밌는 시간을 보냈는데요, 이런 체험을 준비하는 진짜 탐험가의 생생한 무인도 살아남기 이야기가 궁금해 탐험가를 만나러 왔습니다. 무인도섬테마연구소의 윤승철 소장입니다. [어수동] 무인도 탐험은 어떻게 시작하게 되셨 ... ...
- [이슈] 헷갈리는 꼭짓점의 정의, 각뿔의 꼭짓점은 하나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평화로운 어린이수학동아 편집부에 논쟁이 벌어졌어요. 이게 다 김연진 기자가 편집부에 던진 ‘각뿔의 꼭짓점’ 문제…, 아니, M몬스터 숲에 사는 꼭짓점 몬스터 때문이에요. 무슨 일인지 알아보러 가볼까요? 김기자의 사건일지 ① 원뿔의 꼭짓점의 정의는? 김 기자는 5월 15일자 놀이북 ‘M ... ...
- [층간소음 줄이기 대작전] 집 구조를 바꿔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우리 집에서 발생한 소음이 벽을 타고 다른 집으로 전달된다니…! 그렇다면 소음이 덜 전달되도록 집 구조를 바꿀 수 없을까?아파트, 기둥식 구조로 소음 전달 줄인다!우리나라 공동주택의 대부분은 벽식 구조로 이뤄져 있어요. 방과 거실, 화장실, 계단실 등 공간을 분리하는 역할을 벽이 하는 거 ... ...
- [만화뉴스] 킁킁, 나방 더듬이 드론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지난 12월 16일, 미국 워싱턴대학교 다학제 공동연구팀은 나방 더듬이를 활용해 냄새를 찾는 드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냄새(smell)’와 ‘헬리콥터(helicopter)’라는 단어를 합쳐 ‘스멜리콥터(Smellicopter)’라고 이름을 붙였지요. 스멜리콥터는 박각시나방의 더듬이를 잘라 냄새 감지 센서로 삼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 가장 깊은 바다에 도착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른 아침, 스위스의 해양학자 자크 피카르와 미국의 해군 중위 돈 월시는 잠수정 ‘트리에스테’를 타고 태평양에 뛰어들었어요. 지구에서 가장 깊은 바다인 마리아나 해구를 탐험하기 위해서였죠.마리아나 해구는 태평양판이 필리핀판 밑으로 들어가면서 만들어진 구조예요. 마리아나 해구에서 ...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완벽한 혼돈은 가능할까요? 크고 무질서한 구조 속에서 작은 조화로운 부분을 항상 찾을 수 있는지 연구하는 분야를 ‘램지 이론’이라고 합니다. 1928년 영국의 수학자 프랭크 램지는 사람이 충분히 많다면 그중 서로 모두 아는 관계인 r명 혹은 서로 전혀 모르는 관계인 s명이 반드시 있다는 ‘램지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