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d라이브러리
"
제시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망률 통계에 할 말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선진국형으로 급격히 접근해가고 있다는등 몇가지 주목할만한 사실도 아울러
제시
하고 있어 많은 사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얼핏 보아 이론의 여지가 없을듯한 사망원인분석에 대해 '문제가 있다'며 반론을 제기하고 나선 전문가를 만나보았다. 바로 연세대 보건대학원장인 김일순 ... ...
RISC에 미국 계산기학회상 수여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명령어 세트 아키텍쳐에 대해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하에서 효과적인 방향을
제시
하려는 연구는 분명 신선한 것이다. 쿡 연구팀의 이번 수상은 그런 의미에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화려한 쪽으로만 쏠리는 연구분위기 보다는 기존 기술의 연장선에서 반드시 필요한 연구에 최대의 점수를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프랭크 스테이시'팀은 지구물리학적인 실험을 통해 새로운 힘이 존재한다는 증거를
제시
했다. 이들은 깊이 1천m와 6백50m의 수직갱에서 깊이에 따라 중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측했다. 지구의 중심부로 갈수록 인력이 커지기 때문에 중력가속도도 커지게 된다. 그런데 '스테이시'의 실험에 ... ...
미리 살아보는 21세기 초 109세까지 살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감축 호르몬)-이 모든 생물의 가차없는 몰락과 사멸의 원인일 것이라는 독창적인 제안을
제시
한 바 있다. 그래서 그는 그것을 분리시키려고 마음먹었으며, 몇 년 안에 목적을 달성했다. 그는 그 호르몬을 정제했고 합성했으며 뇌하수체에서 그것의 분비를 결정하는 시상하부의 분비촉진 요소를 ... ...
블랙홀은 결코 괴물이 아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내직은 영국의 천문학 학술지에 믿을 만한 전자기학적 블랙홀의 에너지 추출 이론을
제시
하였다. 그러나 이 이론이 발표된 후에도 이렇다할 진전이 이루어지지 않자 '맥도날드'(Macdonald)와 쏜은 1982년 이 이론을 전자회로에 비유하여 알기 쉽게 풀이하였다. 맥도날드와 쏜의 기지에 찬 전자공학적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세계적 수준의 글을 쓰고 있어요. 언론이 과학의 여러 문제에 가이드라인을
제시
해줄 정도의 역할을 해야 하는데, 우리는 전혀 그렇지가 못한 실정입니다. 신문사내에 과학전문가가 없다면 비상임으로라도 외부의 전문가를 활용해야 할 것이에요. 아뭏든 우리나라의 언론 자체가 과학의 방향에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조사자들은 침입 물체가 이리듐이 풍부하고, 먼지가 많은 물질로 둘러싸인 혜성이라고
제시
하고 있다. 이것은 이리듐은 있고 패인 자국은 없는 상태를 설명해 준다. 그럼에도 모든 사람이 그것을 수긍한 것은 아니었다. 사건은 여전히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두가지 점이 지적될 수 있다. 중앙 ... ...
흥미있는 컴퓨터 체스 2천3백점대의 챔피언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인공지능과 관련된 첫 노력으로 컴퓨터 체스가 오늘에 이를 수 있도록 이정표를
제시
한 것은 '클로드 쉐논'과 전산학의 대부 '앨런 튜링'의 50년대 논문 두편이다. 이중 튜링의 생각을 기초로 해서 영국 맨체스터 대학에서 개발한 작품이 있었으나 실제로는 거의 실효를 거두지 못했다 한다. 그즈음 ... ...
로스 알라모스에서 열린 최초의 회의보고 인·공·생·명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이란 저서의 저자인 더킨스 박사는 놀라운 진화력을 가진 막대기 모양의 발생학 설명을
제시
하였다. 임의적인 돌연변이와 어느 정도 자의적인 자연 도태의 설명을 통해서 그 프로그램은 놀랍게 복잡한 그리고 자주 지상의 생명체와 놀랍도록 흡사한 모양으로 진화해 나가는 것이었다. 이 모델들은 ... ...
제1회 한국과학대상 수상자 김진의 교수
과학동아
l
1988년 01호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이 문제에 대해 김교수는 하나의 가능성을 조심스레
제시
하고 있다. "뉴트리노로 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었지만 별 1조개가 모인 우리 은하와 같은 규모는 설명하지 못했지요. 그러나 아주 가벼운 액시온을 도입한다면 이 정도는 설명이 가능합니다. 더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