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가
참석
관여
출석
가입
조인
곁듣기
d라이브러리
"
참여
"(으)로 총 4,366건 검색되었습니다.
4. 사이버 공간에서도 언어는 진화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가진 뜻은 어휘 그 자체보다는 대화의 줄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신조어의 의미는 대화에
참여
한 사람들과 그들이 속한 집단이 공유한 공감대이기 때문이다.인터넷 언어의 진화 과정은 사이버 공간에서 인간 심리가 진화하는 과정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축약어가 자연어를 사이버 환경에 적응시킨 ... ...
달에 얽힌 10가지 진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하지만 ILD 프로젝트는 2008-2018년 또는 2010-2020년에 개별 국가 혹은 여러나라가 공동으로
참여
해 달 탐사 활동을 이끌어나갈 것으로 보인다.ILD 프로젝트 전망은 밝은 편이다. 일본과 중국, 인도 등이 달 탐사계획을 한창 추진 중이기 때문이다. 일본은 2006년 ‘달탐사공학’ (SELENE) 프로젝트를 준비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상태에서 출발할 수 있어 아이디어를 최대한 살릴 수 있었죠.”이 모델을 개발하는데
참여
한 원자력연구소 한 박사는 “올해만 일본에서 세차례나 초청을 받는 등 그때 이후 세계 원자력 학계가 한국의 기술 수준을 높이 보고 있다”고 말했다.안전하고 핵 폐기물도 줄이는 차세대 원자로차세대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결집력은 어디서 나올까. 개인이 사이버 공간에 우후죽순 생겨나는 동호회나 공동체에
참여
하는 이유를 살펴보면 그 현상을 쉽게 설명할 수 있다. 얼핏 보면 커뮤니티는 집단의 원칙과 문화에 개인이 종속되는 모양새를 띤다. 하지만 커뮤니티가 유지되는 조건은 이런 집단의 공동 목표가 아니라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는 결과를 얻었다. 도피나 환상, 집단
참여
욕구가 게임을 통해 풀리며, 여기에 투자한 시간과 욕구충족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증명한 연구였다. 게임이 현실 도피욕와 고독을 함께 해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 첫 연구였다.게임은 이와 함께 ... ...
과학으로 베일 벗는 한국 고대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은하와 퀘이사의 기원과 진화를 밝히는 세계적인 프로젝트인 SDSS(Sloan Digital Sky Survey)에도
참여
하게 돼 연구자로서 최고의 행복을 누리고 있다. 또 내년에는 주전공인 우주론을 다룬, ‘인간과 우주’ 출판 10주년을 기념해 새로운 내용을 반영한 개정판을 낼 준비도 하고 있다 ... ...
허술한 혈액 공급망 긴급 진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헌혈했던 혈액도 폐기 대상이 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히도록 개정돼야 한다.시민단체
참여
하는 혈액위원회 만들어야부적격혈액으로 인해 에이즈나 간염에 감염된 환자와 그 가족들은 그야말로 마른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심정이다. 수혈로 인한 감염사고는 분명 개인의 안전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 ...
마침내 모습 드러낸 파란장미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계열의 색소들의 조합으로 결정된다. 때로는 당근의 색깔을 내는 캐로티노이드가
참여
하기도 한다. 안토시아닌 색소는 크게 3가지가 있다. 빨간색의 시아니딘, 주황색의 펠라고니딘, 파란색의 델피니딘이 그것이다. 이들은 DHK라는 한 물질이 각각 다른 경로를 통해 변형돼 만들어진 것이다. 그런데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것. 프랑스 베르텡테크놀로지사와 이탈리아 그라도제로에스파체사도 이 실험에 함께
참여
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페스카를로팀은 이를 바탕으로 제작한 차량을 2년째 ‘르망 24시간 지속 레이스’ 에 선보여 왔다. 24시간 지속 레이스란 시속 2백-3백km 속력으로 하루 종일 쉬지 않고 달리는 자동차 ... ...
과학체험으로 시작하는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발생 장치’ 와 ‘대한민국 핵융합연구장치' (KSTAR)를 견학하고 플라스마 모형 실험에
참여
했다. 핵융합연구개발사업단 이현곤 박사는 “학생들이 질문도 많이 하고 핵융합에 대해 관심을 갖는 모습을 보고 뿌듯했다”며 “한국의 미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후배 과학자들을 만나게 돼 ... ...
이전
298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