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결과"(으)로 총 3,5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심리테스트포스팅 l20170228
- 심리테스트 입니다.Q. 당신은 친구들과 같이 피자파티를 하고있었습니다. 맛있게 피자를 먹던 중 파티가 거의 끝나갈 때 피자 한 조각이 남았습니다. 친구가 당신에게 남은 피자를 당신이 먹어도 된다고 하였습니다. 당신은 어떻게 대답할 것 인가요?1. "그래! 그럼 내가 먹을게!!"2. "남은 한 조각이라도 나눠먹자!"3. "아니야, 나는 배불러. 네 ...
- 야구는 왜 9회까지 할까?기사 l20170226
- 준비를 언제 해야 할지 알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게임이 끝나는 시간을 미리 예상할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해 달라고 요구했지요. 그 결과 야구는 오늘날처럼 9회로 정해졌어요. 9회까지 하게 된 것은 12진법의 영향이에요. 9회면 9명이 비교적 고르게 세 번씩 타석에 설 수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12진법에 따라 삼진이면 1아웃이고 3아웃이면 ...
- 전시용 돌고래의 눈물기사 l20170224
- 좁은 우리에서 피부병을 앓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졌습니다. 그러자 많은 사람들이 케이코를 바다에 돌려보내자고 외쳤어요. 그 결과 케이코는 야생 적응 훈련을 받고 아이슬란드 바다에서 방류되었죠.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케이코는 다시 사람들에게 돌아와요. 사람들에게 너무 익숙해져버린 것이였죠. 결국 2003년, 케이코는 야생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급 ...
- 좋아하는 예능 프로그램 투표 결과포스팅 l20170222
- 좋아하는 예능 프로그램 투표 결과입니다!1. 런닝맨: 10표2. 1박 2일: 4표3. 무한도전: 9표4. 해피투게더: 1표5. 꽃놀이패: 0표6. 웃찾사: 2표7. 개그콘서트: 1표8. 아는형님: 8표9. 우리 결혼했어요: 1표10. 최고의 사랑: 1표11. 기타: 1표 - 세상에 이런일이 이렇게 나왔고요, 총 23분이 참여해 주셨습니다!모두 ...
- 현재 한국이 1위인 2017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기사 l20170221
- 넘지 못하며 메달권 확보에 실패했는데요. 내일 보여지는(2.21) 500m 경기에 기대를 해보겠습니다. 현재 2017년 2월 20일 월요일의 경기 결과는 대한민국이 금 6개, 은 2개, 동 5개의 성적으로 압도적으로 앞서 나아가고 있습니다. 뒤따라 중국, 일본, 카자흐스탄이 따라오고 있습니다. 내일 또한 선수들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
- '80/20' 파레토의 법칙과 새로운 롱 테일의 법칙기사 l20170215
- 바로 파레토의 법칙입니다. 이것은 이탈리아의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에 의해 발견된 법칙입니다. 이 파레토의 법칙은 어떤 결과의 80%는 20%의 원인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이 법칙을 발견하게 된 계기는 파레토가 밭에 완두콩을 심었는데 20%의 완두콩 넝쿨에서 80%의 수확량이 나왔습니다. 이를 계기로 파레토는 주변을 조사하기 시작했습니 ...
- 물로 온도계 만들기?!기사 l20170211
- 발효가 일어나기 전까지는 쓸 만했습니다. 하지만 발효가 되면 거품이 부글부글 거리면서 온도와 관계없이 오르락 내리락 했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실패한 것이죠. 이제 물 온도계를 만들어 보겠습니다. 준비물 - 아주 길고 얇은 유리관, 물, 뜨거운 물, 얼음, 주사기, 빨간 색소 실험 방법 1. 아주 길고 얇은 유리관에 빨간 색소를 탄 물을 ...
- 회장선거포스팅 l20170209
- 저희 언니가 전교 학생회장 선거에 나갔어요!!결과가#어떻게 될까요?? ...
- 당신의 진짜 친구는 몇 명? 던바의 수에 관하여기사 l20170207
- 보통 사람들을 대상으로 또 다른 조사를 했습니다. 1년에 한 번 이상 인사를 하고, 안부를 묻는 사람이 몇 명이냐고 물어봤죠. 그 결과 두 종류의 사람들은 모두 친밀한 관계를 이어가는 사람은 모두 150명 안팎에서 머물렀죠. 로빈 던바 교수는 이를 던바의 수라고 이름 붙였습니다. 그리고 던바 교수 연구팀에 따르면 그 150명도 쪼개지고 쪼개져서 ...
- 드론으로 또 다른 세계를 경험하다!기사 l20170206
- 보통의 드론은 드랍 테스트, 트위스트 테스트 등 여러 가지 테스트 후 출시되는데, 저는 집에서 테스트해 보았습니다. 그 결과 저의 드론은 튼튼했습니다. 이번 교육을 통해 드론에 대하여 조금 더 알게 되어 기뻤습니다. 여러분도 직접 드론을 만들어 보시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 임소정 기자였습니다. *자료는 현장에 계셨던 기자분들의 말씀이나 섭섭박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