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조절"(으)로 총 4,3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국내 발굴 유전자 ‘삼돌이’, 자폐증 원인 규명에 한 발 다가서동아사이언스 l2018.01.31
- 삼돌이 유전자들이 모두 정신질환에 관련이 되어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감정조절의 핵심 중추인 고삐핵에서 발현하는 SAM2를 우선적으로 연구했을 뿐이며, SAM3는 별도로 2개월전에 Scientific Reports지에 발표를 했습니다. SAM1 연구도 진행 중에 있으며, 아직은 비밀단계이지만 이미 삼돌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설탕보다 낫다더니... 트레할로스의 씁쓸한 이면2018.01.30
- 유전자가 발현된 결과라고 가정했다. 두 사람은 이를 실험으로 입증했고 이런 유전자 조절 단위를 오페론이라고 명명했다. 트레할로스 오페론 역시 평소에는 TreR 단백질이 treA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하고 있다가 주변에 트레할로스가 존재하면 억제가 풀리면서 treA 유전자가 발현돼 이를 ... ...
- [표지로 읽는 과학] 암 전이 일어나는 첫 단추 알아냈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8
- 그동안 암이 다른 곳으로 전이되는 이유에 대해서 다양한 원인이 밝혀졌다. 암 전이를 조절하는 유전자를 찾아내거나(https://goo.gl/ZGY6im) 핵심 역할하는 줄기세포를 찾아냈다(https://goo.gl/ZQem9L). 이번 주 네이처 표지 논문은 암세포 전이가 일어나는 또 다른 원인을 찾아냈다. 표지에서 파란색 ... ...
- 하늘 날던 드론이 바닷속 잠수함으로 변신… 미리 엿본 드론의 미래동아사이언스 l2018.01.27
- 하늘을 날던 '글라이더'를 수중용으로 개발한 '수중 글라이더'도 선보였다. 부력을 조절해 움직이며 해양 관측에 특화된 모델이다. 프로펠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요구 전력이 낮아 최대 1년까지 운용이 가능하다. 수중 글라이더는 경상북도와 포항테크노파크, 경북대 등의 공동 연구팀은 2 ... ...
- 정보를 모두 일로 변환! 효율 98% 정보 엔진 구현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도깨비와 비교한 모식도. 컴퓨터는 입자의 위치 정보를 읽고, 판별해 광학집게 위치를 조절(피드백) 한다. 맥스웰의 도깨비는 분자의 위치와 속도를 측정하고, 조건에 맞으면 문을 연(피드백)다.-기초과학연구원 제공 연구팀은 이론상의 맥스웰의 도깨비를 실험으로 구현했다. 먼저 정보를 일로 ... ...
- 공기 중에 360도 전방향 홀로그램을 구현하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5
- 흐트러짐없이 움직이는 홀로그램 영상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입자스캐닝으로 속도를 조절해 홀로그램이 움직이는 효과를 만든 것이다. 이 방식으로 원거리에서 움직이는 홀로그램을 안정적으로 만들고 유지하는 데에도 성공했다. 스몰리 교수는 “현재의 홀로그램기술의 한계를 극복하는데 ... ...
- 손짓으로 기계 조종할 수 있는 기술 나왔다동아사이언스 l2018.01.22
- 자기장 변화를 미세하게 측정할 수 있는 덕에 전구를 켜고 끄는 것뿐만 아니라 밝기를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의 두께가 3㎛(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m)에 불과해 옷이나 손바닥 등에 붙여도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데니스 마카로프 HZDR 연구원은 “구부러지거나 접혀도 본래 ... ...
- [표지로 읽는 과학]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RNA 중합 효소의 모습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생화학 분야에서는 그야말로 ‘극저온전자현미경’ 시대가 열렸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단백질이나, 귀에서 압력 변화를 느껴 읽고 듣게 도와주는 센서 분자, 지카 바이러스 등의 구조가 극저온전자현미경 기술 덕분에 밝혀졌다. 유명한 국제학술지 표지 역시 자주 극저온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동아사이언스 l2018.01.21
- 기술로 25㎚ (나노미터, 10억분의 1m) 크기의 로봇팔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외부에서 조절하는 전기장에 따라 회전운동을 하는 이 로봇팔은 나노입자 등의 아주 미세한 물질을 옮기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성과는 1월 19일자 과학 저널 ‘사이언스지’에 발표됐다. 유전정보를 담고 ... ...
- ‘전자약’으로 노화 걱정 덜어드립니다과학동아 l2018.01.16
- 비만 치료용 전자약은 뇌와 위 사이에서 신경 신호가 전달되는 경로를 자극해 식욕을 조절한다. 최근에는 우울증과 파킨슨병 치료에도 전자약을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김 교수는 “전자약은 부작용이 거의 없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전기자극으로 근육세포에 ... ...
이전29829930030130230330430530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