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학"(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발생 부위를 찾거나 인지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다. SQUID는 공학 분야에서도 쓰임새가 많다. 항공기나 선박 같은 대형 구조물에 생기는 결함을 탐지하거나 반도체와 같은 세밀한 부품의 불량을 알아내는 데도 쓸 수 있다. 묻혀 있는 전선이나 반도체의 회로를 따라 ... ...
- 현장점검-구제역 지하수 3년 뒤 진짜 위기 온다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문제가 생기는 것은 맞다. 하지만 지하수의 움직임은 대단히 느리다. 박재현 인제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토양에 따라 다르지만, 지하수는 보통 하루에 0.2m 정도, 모래일 경우 0.5~1m 정도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밝혔다. 매몰한 지 100일이 지난 안동 지역이라 하더라도 지하수는 겨우 20m 정도 ... ...
- 황당맨의 취재수첩과학동아 l2011년 04호
- 1 스스로 조립하는 나노물질이번에 황당맨의 엉뚱한 인터뷰 대상이 된 사람은 KAIST 신소재공학과의 박찬범 교수다. 박 교수는 펩타이드가 스스로 조립하는 성질을 이용해 나소 소재를 만드는 기술을 개발했다. 펩타이드는 단백질을 이루는 물질이다. 이런 펩타이드 기반의 자기조립형 물질은 화학적 ... ...
- 빅뱅이론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삶에 공감이 가는 것은 이런 재미있는 이야기뿐만이 아니다. 한때 내가 꿈꿨던 과학자, 공학자의 삶을 사는 그들을 보면 공대에서 공부하면서 느꼈던 여러 가지 감정이 생각난다. 쉘든이 자신보다 똑똑한 젊은 학자를 만났을 때 느낀 질투, 쉘든과 레너드가 학회에 가서 유명한 과학자를 만났을 때 ... ...
- 지능형 데이터시스템 공학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달리 산업체와 연계하거나 정부기관과 연계해 심화된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한다. 컴퓨터공학에서만도 상당히 다양한 세부 주제들이 있다. 학부에서 지식을 충분히 쌓은 후 데이터 처리에 큰 흥미가 느껴진다면 대학원을 선택하도록 한다.7 취업을 선택하면요?이 기술을 가장 필요로 하는 곳은 최신 ... ...
- 식중독 백신 개발과학동아 l2011년 04호
- 백신이 개발될 전망이다.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식품공학과 잔롱 리 교수팀은 식중독의 주원인인 노로바이러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새롭게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의 과학학술지 ‘저널 오브 바이롤로지’ 3월호에 실렸다.이 백신은 병원성이 없는 바이러스에 노로바이러스의 ... ...
- “인문사회예술 다독이 합격 비결”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생각을 함께 적어서 자료로 만들었죠.” 과학동아를 보며 노벨상을 수상한 이스라엘 생명공학자인 요나트 박사의 기사도 스크랩했다는 정상현 학생. 그의 적극적인 독서활동은 비단 과학 분야에만 머물지 않는다. 인문, 사회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갖고 많은 책을 읽으며 지평을 넓혔다. “창의력이란 ...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온도가 올라가면서 폭발을 일으킨 것이 사고 초기의 수소폭발이다. 이은철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폭발 전에 수소 기체를 미리 빼내지 않았다는 지적이 있지만, 연료봉에서 나온 기체에는 요오드, 세슘 등 방사성 물질이 포함돼 있을 가능성이 높다”며 “누출을 막기 위해 끝까지 방출을 ...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과학동아 l2011년 04호
- 같은 분이셨다. 그 곳에서 100여 년 전에 주변의 학생들을 모아 놓고 항공우주 관련 공학을 가르쳤다. 학생들과 함께 본인의 집 2층에서 직접 여러 가지 기구를 만들고 실험하고 공부했던 찌알꼽스끼 선생님의 수많은 유물을 보고 나니, 왜 러시아 우주기술 역사에 없어서는 안 될 분인지 금방 알 수 ...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과학동아 l2011년 04호
- 양이다. 따라서 이런 자료의 분석은 컴퓨터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고, 자연과학자와 공학자의 도움이 필요하다.방대한 자료를 분석하고 모델링해 미래를 예측하는 데 수학자와 물리학자의 역할이 커지면서 최근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의 경계가 많이 허물어지고 있다. 특히 물리학자들은 자연을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