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고
d라이브러리
"
다시 생각함
"(으)로 총 6,123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질환에서 인류를 구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탐침으로 사용한 DNA와 결합하는 HPV를 발견했다. 추어하우젠 박사는 성기 사마귀의 HPV를
다시
탐침으로 사용해 자궁경부암에서도 HPV를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20여 년에 걸친 노력의 ... 이번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을 계기로 감염성 질환의 연구가 인류복지에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달이 공전하는 동안 지구가 태양 주변을 공전하므로 달과 태양이 지구를 사이에 두고
다시
처음과 같은 위치에 오려면 2.2일이 더 걸리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교과서(다) ... 400년마다 3회씩 윤년을 줄이는 방법을 택했다. 3500년마다 1일이 모자라므로 4000년마다
다시
윤년을 두었다. ... ...
[물리]자기장 속 입자의 움직임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아래쪽을 향한다. 입자는 아래 방향으로 힘을 받는데 입자의 운동방향이 아래로 향하면
다시
오른쪽으로 힘을 받는다. 이를 계속해서 생각하면 앞의 그림과 같이 입자가 로렌츠 힘을 구심력으로 하는 원운동을 하게 된다.로렌츠 힘과 구심력이 같으므로 evB=mv2가 성립하고 원운동의 반지름 r은 r=mv ... ...
양자에 ‘순간이동’ 이름 붙인 주인공 찰스 베넷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수 없다는 말은 맞다. 중요한 점은 빛보다 빨리 전달된 대상이 양자‘상태’라는 점이다.
다시
말해 정보 자체가 전달됐다는 말은 아니다. 정보를 빛보다 빨리 전달하는 일은 불가능하다. 만약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쯤 물체를 순간이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내가 지금 눈 깜짝할 사이에 당신 ... ...
국제학회에선 국가대표 선수처럼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적이 있었다.아무래도 문제를 찾을 수 없어 결국 김 교수님과 함께 처음부터 프로그램을
다시
점검했고, 그 결과 입력값을 설정할 때 실수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경험으로 얻은 교훈이라면 문제가 발견되면 처음으로 돌아가 혹 실수는 없었는지 살펴봐야 한다는 점이다.‘고진감래’ ... ...
[생물]광학이성질체의 양면성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유사분열과 같다. 그러나 난할은 체세포와 달리 딸세포가 모세포만큼 커지기 전에
다시
분열하므로 진행됨에 따라 하나하나의 세포가 점점 작아진다. (나)세포주기는 한 세포가 성장해 두 세포로 분열되는 전 과정으로 한 세포주기는 G1기, S기, G2기, M기로 구성된다. G1기는 첫 번째 휴지기로 ... ...
진짜기자 명예기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시간이었어.민철 오빠와 난 손수건 천연염색을 직접 해 봤어. 어릴 때 해 본 천연 염색을
다시
해 볼 수 있어서 좋았고, 식물로 물감을 만든다고 하니 신기했어. 하얀 면을 물에 조물조물 적신 뒤 식물에서 추출한 색소에 천을 넣고물들였지. 20분 넘게 손이 노래질 때까지 주무르는 건 좀 힘들었지만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스타’로 떠올랐다. 덩달아 철학자들도 바빠졌다. ‘실재’와 ‘존재’가 뭔지
다시
고민해야 했다. 바야흐로 ‘제2차 양자혁명’이 시작됐다.아인슈타인의 ‘불평’에서 시작? 역설적이게도 제2차 양자혁명은 아인슈타인의 ‘불평’에서 시작됐다. 잘 알려진 것처럼 아인슈타인은 양자역학을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새들은 둥지를 짓는 과정이 천적에게 노출되면 그 둥지를 포기하고 다른 장소에 둥지를
다시
짓는다.새 둥지는 새의 종류만큼 다양하다. 까치, 백로는 나무 위에 둥지를 짓고, 개개비사촌과 붉은머리오목눈이는 갈대 같은 식물 줄기나 가는 나뭇가지 사이에 짓는다. 딱따구리나 물총새는 나무나 흙에 ... ...
전기장으로 잠자는 유전자를 깨운다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발현하는 패턴에 변화가 있었다. 즉 오랜 개량과정을 거쳐 잠자고 있던 유전자가
다시
활동했던 것. 사실 진화에서 새로운 유전자가 생기고 안 쓰는 유전자가 사라지는 경우는 드물다. 오히려 유전자들이 발현하는 패턴의 변화가 더 크게 작용한다. 예를 들어 쥐와 사람은 모두 1000여 개의 냄새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