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진실 혹은 거짓, 진짜 연구를 찾아라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되지만 식품이 아니기 때문에 한의사의 처방 없이는 쓸 수 없는 약재야. 굼벵이의 어떤 물질이 간 질환에 좋은지 밝혀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혹시 사람에게 안 좋은 독소가 있는지도 모르거든.그러니까 아무리 몸에 좋다고 해도 함부로 먹으면 안돼. 인터넷에 ‘굼벵이’를 검색하면 굼벵이 ... ...
- 꽃 호르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작물인 토마토, 호박, 사탕무, 밀, 보리를 비롯해 거의 모든 식물에서 발견됐다. 이 식물들이 광주기에 따라 꽃피는 메커니즘은 놀라울 정도로 진화적으로 잘 보존돼 있다.그렇다면 누구에게 플로리겐의 발견 영예를 돌려야 할까. 플로리겐임이 확인된 FT 유전자는 1995년 바이겔 교수와 아라키 교수가 ... ...
- PART 1. 세상을 속인 과학 사기극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고압 물리학의 대가야. 초고압 상태에서 이용할 수 있는 기술 개발로 1946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어. 브리지먼은 무아상의 방법으로는 인공 다이아몬드를 만들 정도로 강한 압력이 나올 수 없다고 설명해. 즉 무아상의 방법을 이용해 다이아몬드를 만들었다고 주장해온 다른 과학자들이 다 사기를 ... ...
- 화성은 과거에 붉지 않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것이다.새롭게 드러난 회색 화성과학자들은 지구에서 여러 미생물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물질을 이 시료에서 발견했다. 드릴로 파낸 흙은 붉지 않았다. 연구에 참여한 존 그로칭거 박사는 “아주 오래된, 하지만 새롭게 알게 된 ‘회색 화성’을 볼 수 있었다”며 “이 환경에서는 생명체가 살 수 ... ...
- 사자와 사람 기생충이 닮았다?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사자 몸에는 피부에 붙어서 피를 빠는 진드기와 같은 외부기생충도 있지만, 뱃속에서 영양을 빨아 먹는 내부기생충도 있다. 초식동물을 잡아 ... 갖고 있다. 보이지도 않고 말도 없는 생물, 징그럽고 없애야만 한다고 생각했던 이 생물이, 지난한 진화 역사의 한 단면을 환하게 밝혀줄 것이다 ... ...
- 우주 개발의 개척자 사운딩 로켓과학동아 l2013년 04호
- 대부분의 로켓이 군사용이었지만, 이런 분위기는 1957~1958년에 이뤄진 ‘국제 지구물리의 해(IGY)’라는 프로젝트를 계기로 바뀌었다. 냉전으로 한참 동안 교류하지 못하던 동방과 서방의 과학자들이 오랜만에 모여 함께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던 기회로, 67개국이 참여했다.연구 주제는 오로라, 우주선 ... ...
- [매스 미디어] 돌고래는 수학 천재? 돌핀수학동아 l2013년 04호
- 필요하다. 푸리에 변환은 여러 가지가 뒤섞인 신호를 분리하는 함수식으로, 음파와 물결파, 전기장, 자기장 등을 분석할 때 사용한다.음파는 수학적으로 파형과 진동수, 진폭이라는 요소로 구성된다. 푸리에 변환은 수없이 뒤섞여 있는 소리 요소에서 비슷한 파형과 진동수, 진폭을 분리한다. ...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13년 04호
- 발명품도 만들어, 인간의 목소리를 바로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했다. 인간의 음성은 물론, 대중음악까지도 소리를 눈으로 볼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한 것이다. 제니 박사는 클라드니의 연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음악이 만들어 내는 파동은 음의 길이나 박자에 따라서도 고유의 무늬가 달라진다는 ... ...
- 비행, 레이더, 동면 - 진화의 꽃 박쥐의 모든 것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아닙니다. 과일과 꽃가루를 먹는 큰박쥐아목 박쥐들은 꽃가루를 옮겨줍니다. 벌처럼 식물 생태계를 연결시키고 농업을 돕는 역할을 하죠. 박쥐가 사라지면 열대 생태계 전체가 위기에 빠질지도 모릅니다.다행히 우리나라는 아직 곰팡이 병이 돌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개체수가 줄고 서식지가 ... ...
- 아니, 의사 양반 이게 무슨 소리요? 병원이 나쁘다니…과학동아 l2013년 04호
- 섭취하니 모든 질병이 사라졌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을 거부하고 천연 물질을 이용해 질병을 치료해야 한다는 주의에 빠진 모양입니다.하지만 본인이 병원을 끊은 뒤 질병이 나았다고 해서 그게 인과관계를 보장해 주지는 않습니다. ‘병원에 가지 않았다’와 ‘병이 나았다’는 ... ...
이전2993003013023033043053063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