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센타
쎈타
중심
쎈터
중앙
center
핵심
d라이브러리
"
센터
"(으)로 총 4,0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일월드컵에 등장하는 특수 운동복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장착된 우주복을 입게 된다. 잉글랜드 대표팀이 이용할 냉동 운동복은 NASA 존슨우주
센터
가 신기술 상용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982년 테크니-클로스사에 이전한 기술로 제작됐다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20세기 최고의 과학자로 불리는 아인슈타인을 규명하는 작업에서 그의 첫번째 아내였던 밀레바 마리치와의 비밀스런 일화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신격화된 과학자’아인슈타인. 그 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그의 또다른 모습을 살펴보자 17세기에 독일의 유명한 과학자이자 철학자인 라이프 ... ...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빛을 느리게 한 하버드대 연구팀이 BEC에서, 피지컬리뷰레터에는 하버드-스미소니언 천문
센터
연구팀이 70-90℃에서 성공했다고 소개했다. 느림보 빛 연구와 마찬가지로,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BEC와 실온에서 빛을 정지시키는 연구가 발표된 것이다.그렇다면 어떻게 빛을 정지시킬 수 있었을까. ... ...
우주에서 만들어진 생명의 씨앗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아미노산을 합성하는데 성공했다.미국의 세티(SETI)연구소와 항공우주국(NASA) 에임스연구
센터
의 막스 베른슈타인 박사팀과 네덜란드 라이든천문대의 무뇨츠 카로 박사팀은 우주공간과 같은 극저온, 진공상태에서 성간물질에 자외선을 쪼여 아미노산을 합성하는데 각각 성공했다고 ‘네이처’ 3월 2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차야 공을 마음대로 주무를 수 있다는 점은 기본. 실제 독일의 아디다스 축구공연구
센터
에서 로봇발로 피버노바를 차 35m 떨어진 또다른 공을 맞추는 실험에서 2천번 중 1-2번만 빗나가는 정확성을 보였다고 한다.피버노바가 가진 놀라운 반발력의 비밀은 무엇일까. 세겹으로 구성된 기본 패널 ... ...
나노기술 결합된 최첨단 전투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스스로 치료하는 시스템까지 갖춘 스마트 군복을 입게 된다고 설명했다.로보솔져의 연구
센터
로 선발된 미국의 전투병력나노기술연구소(ISN)는 5년간 5천만달러(약 6백50억원)에 달하는 연구비를 미 육군으로부터 지원 받는다.ISN이 개발할 미래형 군복은 병사의 신체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 ...
2. 위기를 도약의 기회로 삼은 선진국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이공계 기피 현상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지만, 생활 소득이 향상되고 있는 국가에서는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라는 지적도 있다. 여러 선진국에서는 이공계를 비롯한 과학교육 문제가 어떻게 발생했으며, 어떻게 대처하고 해결해 왔을까.핀란드-국민 모두가 엔지이너 마인드 갖춰핀란드는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분야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유엔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국제이론물리연구
센터
(ICTP)에서 ‘2001년 ICTP상’ 수상자로 선정된 최초의 한국인에게 보낸 수상 이유다. 주인공은 서울대 물리학부의 이수종 교수(sjrey@phya.snu.ac.kr)다. 끈이론으로 우주에 대해 연구하는 이교수는 최근 우주의 ... ...
2. 독성물 탐지하면 빛 발하는 미생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평가하는 기술 또한 뒤쳐진 상황이다. 필자가 소속된 광주과학기술원 물재이용기술
센터
는 하수를 재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현재 다양한 재이용기술을 개발해 실용화할 수 있는지 타당성을 검증하고 있다.물리·화학·생물학적 방법 총동원물 재이용기술의 ... ...
외계 생명체 찾으려면 깊게 파라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위해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극한 환경까지 뒤져야 할 전망이다. 미국 카네기
센터
의 제임스 스코트 박사팀은 ‘사이언스’ 최근호에 우리 몸 속에 흔한 대장균의 놀라운 생존 능력을 보여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대장균이 해수면에서의 평균 압력보다 무려 1만6천배 높은 환경에서도 살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