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렙! 디지털 리터러시]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급속히 진행되고 있어요. 코로나19 확산으로 집을 나서지 않고 인터넷으로
일
을 처리하는 사람이 늘었거든요. 온라인 수업은 학교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랍니다. ※필자소개이성철(부산 주감초 교사). 부산에서 교사로 근무하고 있으며 디지털 리터러시 교과서를 ... ...
[기획] 램지 수가 뭐길래 수학 난제로 불리지?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215가지, 즉 3만 2768번을 다 따져봐야 합니다. 서로 알거나 모르는 사람의 수가 10명
일
때는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가 수백억 가지로 늘어납니다.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 구하는 방식은 r과 s가 커지면 그 어떤 성능 좋은 컴퓨터를 사용해도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이에 수학자들은 구체적인 램지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수학, 물리학, 경제학
일
것”이라며 “각각의 단어를 몇 번 말했는지를 확인하는
일
도 데이터를 정형화하는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행렬을 이용하면 대화에서 나온 비정형 데이터를 정형화하고 이를 공간상의 벡터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행렬은 행과 열에 수를 배열한 것을 말해요. 예를 들어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과 같은 달, 혹은 같은 날에 태어난 수학자들은 누구
일
까요? 마치 별자리나 탄생석처럼 나의 수학자를 찾아보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요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
상으로 코로나 블루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관대해지자.셋째, 코로나19 사태가 끝날 때 내가 무엇을 가장 후회할지 생각하고 하루의
일
과를 결정하자. 우선 내 치아와 척추를 보호하지 않으면 나의 통장과 정신에는 굉장한 타격이 있을 테니까 이 닦고 앉아서 뭐라도 하자.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입학은 취소됐다. 부당한 중복 게재연구자가 자신의 이전 연구결과와 유사하거나 동
일
한 내용을 출처 표시 없이 게재하는 유형이다. 실적을 올리거나 연구비를 수령하는 등의 부당한 이익을 얻을 수 있어 연구부정행위에 해당한다. ‘셀프표절’도 안된다는 말이다. 논문을 발표한다는 것은 곧 ... ...
게임과 주사위로 말하는 '양자터널링'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벽을 통과하는 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양자 세계에서는 흔히
일
어나는
일
이죠. 태양에서 핵융합으로 만들어진 에너지가 지구에 도달해 생명체가 살 수 있게 해 주는 것도 양자터널링의 활약입니다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보편성을 띠었다. 연구를 이끈 앨런 코웬 UC버클리 심리학과 연구원은 과학동아와의 e메
일
인터뷰에서 “전 세계에서 가장 보편적인 표정은 웃음이었다”며 “전 세계 사람들은 유머러스한 상황에서 웃는데 이는 진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01.053엄 교수는 “기존에는 기능이 알려지지 않았던 IQSEC3 단백질이 뇌질환의 원인 중 하나
일
수 있다는 것을 밝힌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 있는 논문”이라고 말했다.현재는 IQSEC3 단백질이 전혀 발현되지 않도록 유전자 조작을 한 쥐에게 나타나는 증상을 연구하고 있다. 엄 교수는 “현재 연구를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애벌레가 번데기, 나비가 된 뒤 짝짓기를 해서 알을 낳는 것까지 관찰할 수 있었어요.
일
곱 마리의 애벌레 중 무려 여섯 마리가 나비로 깨어나는 모습을 지켜보았지요. 그리고 이 과정을 모두 사진과 영상으로 포착했고, 이 자료로 홈페이지에 기사를 써서 우수기사상을 받기도 했어요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