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AI로 가짜뉴스 잡아볼까?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식으로 딥러닝이 연산을 거치면서 전체 기사의 ‘불일치 정도’를 계산합니다. 이 값이
1
에 가까울수록 가짜뉴스일 확률이 높습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 외에도 “가짜뉴스의 진위 여부를 판별하거나 가짜뉴스의 패턴을 분석하는 등 전 세계적으로 가짜뉴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AI 기술이 ... ...
[연중기획] 인공지능 교과서 훑어보기
1
탄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인공지능을 만들어보세요! 정답은 7월 20일 폴리매스 홈페이지에 공개됩니다. 미션
1
과 미션 2 중 하나를 골라 멋진 인공지능을 만들어준 친구 2명을 뽑아 보드게임을 드립니다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
1
9화. 상반기 결산!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용어정리* 락다운 : 움직임행동에 대한 제재를 뜻하는 영어 단어. 2020년 코로나
1
9 확산을 막기 위해 전 세계 많은 국가가 외출을 제한하고 상점들의 영업을 중단시키는 등 락다운 조치를 했다 ... ...
[이달의 우주 날씨] 7월 여름 방학에 떠나는 밤하늘 여행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흐르는 강인 은하수가 흐르고 있죠. 또 데네브와 남쪽 하늘에서 붉게 빛나는 전갈자리의
1
등성 안타레스를 연결하면 은하수가 흐르는 방향이 됩니다. 하지만 은하수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천체들은 너무나 희미해서 불빛 하나 없이 어두운 곳에서도 날씨가 쾌청해야만 볼 수 있습니다. 이번 ... ...
[이달의 수학자] 정수론 난제의 해결사, 테렌스 타오
수학동아
l
2021년 07호
약한 추측을 일부 증명했습니다. 20
1
5년에는 80여 년간 풀리지 않았던 난제로 ‘
1
과로 이뤄진 무한수열의 합은 임의의 정수보다 크다’는 내용의 에르되시 불일치 추측이 불가능함을 증명했습니다. 현재까지 타오는 300편이 넘는 수학 연구 논문을 발표했고,
1
8권의 수학책을 쓰는 등 활발하게 활동을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시간 관점으로 차분히 되짚어 봤습니다. 특히 지질학의 시간으로는 지극히 최근인
1
만~2만 년 전 한강은 물이 빠진 황해의 초원을 달리는 큰 강의 지류였습니다. 그 낯선 모습을 전문가와 함께 고증해 공개했습니다.2, 3파트에서는 오늘날 한강의 물리적 환경과 한강이 겪고 있는 인류의 영향을 ...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한강의 본류가 되어 서울을 통과한다. 대부분 한강을 떠올리면 경사가 거의 없는 곳에서
1
km 정도의 넓이로 넓게 흐르는 서울의 한강만을 연상하지만, 한강의 하류에 속하는 북한강과 남한강의 합류 지점까지도 산지 하천의 특색이 나타난다. 산지하천은 계곡 폭이 상대적으로 좁고 경사가 급하며 ... ...
[한페이지 뉴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VVV-WIT-08와 비슷한 현상이 관측된 천체들을 분석했다. 그 결과 쌍성계인 별 ‘TYC2505-672-
1
’에서 유사한 패턴이 확인됐다. 이는 VVV-WIT-08이 쌍성계를 이룬다는 주장을 뒷받침해주며,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초거대 쌍성계가 은하계 내부에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결과다. 스미스 연구원은 ... ...
[한페이지 뉴스] 표적 부위만 골라 열 쬐는 피부 접착 발열 장치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부착되고 전류가 흐르도록 했다. 개의 간 조직에 장치를 심어 기능을 실험해 본 결과
1
분 동안 뒀을 때 염증 반응 없이 간 조직의 온도를 최대 7°C 높이는 데 성공했다. 후지 교수는 “유연성, 생체적합성, 무선 가열 등의 기능을 갖춘 이 장치는 침습 내시경 시술 등에서 열 치료의 가능성을 ... ...
1
7년 만의 굉음...매미판 베이비부머 브루드 텐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있다. 크리스 시몬 미국 코네티컷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교수는 “
1
7년 주기매미가
1
년, 또는 4년 앞선 시기에도 등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올해 나타난 브루드 텐에 대에서도 “기후변화로 출현이 7일 이상 지연됐다”며 “이 때문에 특정 지역에서는 5주 또는 심지어 조금 더 오랜 기간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