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차이점
종차
뉴스
"
다른점
"(으)로 총 5,480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연구비 공황을 극복하는 방법 '기본연구비'
2019.12.1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물질적 독립이 민주주의 사회의 실질적 기반 요소임을 고려할 때, 기본소득 도입은 실질적 민주주의로 이행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조건이다” -사회당 기본소득위원회 《기본소득 도입이 필요합니다》 중에서 “마지막으로, 기본연구비는 과학커뮤니케이션에도 중 ... ...
우리은하 중심부도 폭발적 별 생성…'역사' 다시 써야
연합뉴스
l
2019.12.17
[ESO/노게라스-라라 등 제공] 우리은하 중앙에서는 수십억년에 걸쳐 꾸준히 별을 생성해온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최근 관측에서 시기별로 상당한 편차를 보이며 폭발적 별 생산 흔적이 드러나 우리은하의 별 생성 역사가 다시 써지게 됐다. 유럽남방천문대(ESO)와 막스 플랑크 천문학연구 ... ...
"바이오 생태계 위해 '데이터 공유·활용, 클러스터 조성' 서둘러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패트릭 탄 싱가포르 듀크-싱가포르국립대 교수가 16일 서울 강남구 인터콘티넨탈서울코엑스에서 개최된 2019 바이오미래포럼에서 싱가포르의 바이오 혁신에 대해 소개하며 데이터 공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희귀질환을 연구하거나 정밀의학을 발전시키려면 한 국가가 지닌 모 ... ...
'당뇨병약에서도 나왔다' 확산하는 NDMA공포…전문가들 "약 당장 끊어선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지난 4일 싱가포르보건과학청(HSA)은 메트포르민 성분인 당뇨병약 46개 품목을 검사한 결과 이 중 3개에서 발암물질인 N-니트로소디메틸아민(NDMA)가 검출됐다고 발표하고 해당 약들을 회수했다. HSA 제공 이달 초 싱가포르에서 시판 중인 당뇨병약에서 발암물질이 검출됐다. 고혈압과 위장약에 이어 ... ...
IBS 새 연구단 2개 신설…'중이온가속기' '양자정보'에 주목
동아사이언스
l
2019.12.16
기초과학연구원(IBS)는 희귀핵연구단장에 한인식 이화여대 교수를, 양자정보과학연구단 이온트랩그룹 CI에 드미트리 미츠케비치 싱가포르국립대 교수를 선임했다. IBS 제공 기초과학연구원(IBS)은 16일 대전 유성 IBS 본원에 희귀핵연구단과 양자정보과학연구단(가칭) 이온트랩그룹을 신설한다고 밝혔 ... ...
땀을 흘려도, 그냥 자도 붙어있다…일주일간 안떨어지는 패치형 생체신호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연구진이 개발한 패치 형태의 생채 신호 모니터링 센서는 여러층으로 이뤄진 뱀처럼 구불구불한 패턴을 가지고 있어 기계적 전기적 안정성 및 신뢰성을 확보했다. 성균관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피부에 붙이는 신축성 패치로 최장 일주일간 몸의 생체신호를 감시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김선국 성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첫 댓글에 동조하는 악플의 심리학
2019.12.14
픽사베이 제공 ‘악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뜨겁다. 흔히 익명성이 악플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꼭 익명이 아닐 때에도, 예컨대 자기 이름과 얼굴을 걸고 하는 페이스북 같은 공간에서도 흔치 않게 악플을 발견할 수 있다. 익명성 외에 악플을 증폭시키는 요인은 뭘까. 상대방에게 ... ...
화성 바람지도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화성의 바람 지도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푸른색은 바람의 방향, 하얀색 점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선 '메이븐'이 이를 관측하기 위해 움직인 궤적이다. NASA 제공 화성의 바람 지도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미국항공우주국(NASA) 화성 탐사선이 측정한 결과인데 이 탐사선에는 바람 측정장비 ... ...
[프리미엄 리포트] 교과서엔 절대 안나오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
과학동아
l
2019.12.13
최근 러시아, 북유럽 등 추운 지역에서 허공에 뜨거운 물을 뿌리면 바로 냉각되는 장면을 담은 인증샷이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유행하고 있다. 뜨거운 물을 냉각하면 압축됐던 산소와 수소 원자의 공유결합이 길어지면서 에너지를 더 빨리 방출해 냉각도 더 빠르게 진행된다. 초등학교 때부 ... ...
플라스틱 쌓인 지금은 ‘인류世’ 시대… 생태 위기 해법은?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경기 포천시 야산에 불법으로 버려진 쓰레기가 쌓여 있다. 플라스틱과 콘크리트 등 인류 문명에 의한 폐기물이 퇴적층에 영향을 미치는 시점을 ‘인류세’라는 별도의 지질시대로 구분하자는 제안이 있다. 동아일보 DB 최근 과학계에서는 인류가 지구에 미친 영향이 커진 만큼 새로운 지질시대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