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뉴스
"
시간
"(으)로 총 19,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잠을 자야 하는 이유 첫 직접 증거 발견…지친 뇌 '리셋'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하는 생체활동이라는 결론이다. 연구를 이끈 헨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깨어있는
시간
동안 뇌의 성능은 서서히 감소하며 우리는 수면을 통해 뇌의 최고 성능을 다시 회복하게 된다는 사실을 직접 증거를 통해 알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특히 신경 눈사태가 일어나기 전후 신경세포의 ... ...
고령자도 북한산 등반 거뜬...웨어러블 로봇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2
등정하는 '웨어러블 로봇 챌린지'를 수행했다. 목표 지점까지 해발 604미터로 왕복 3
시간
이 걸리는 코스다. 그 결과 착용자는 흙길과 바위길, 경사로와 평지가 반복되는 다양한 보행 환경에서 중간 배터리 교체나 개발자의 개입 없이 로봇의 근력 보조로만 등반을 마쳤다고 밝혔다. 연구를 이끈 이 ... ...
엔진 본체 스스로 해체하는 로켓 개발…"우주쓰레기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않은 로켓 엔진이 공개됐다. 영국 글래스고대 과학·공학컬리지 연구팀은 10일(현지
시간
) 미국 플로리다주 올랜도에서 열린 미국항공우주학회(AIAA) 사이테크 포럼에서 '자가포식(Autophage)'하는 하이브리드 로켓 추진시스템 '우로보로스-3(Ouroborous-3)'을 소개했다. 생물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 ...
작년 뎅기열 환자 2배 증가…"해외여행 후 공항서 무료검사"
연합뉴스
l
2024.01.11
장소는 되도록 피하고, 외출 시 밝은색 긴 옷을 착용하는 것이 좋다. 모기 기피제는 3∼4
시간
간격으로 사용하고, 방충망이나 모기장이 있고 냉방이 잘되는 숙소에서 묵어야 한다. 자세한 주의사항은 '해외감염병NOW(http://www.해외감염병NOW.kr)→ 국가별 감염병 예방정보'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과기원NOW] UNIST, 고순도 그린수소 생산 수전해 촉매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1m) 수준의 얇은 텅스텐 막이 루테늄의 촉매 작용 부위를 보호해 안정성을 높였다. 100
시간
이상 구동에도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4일 게재됐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오창명 의생명공학과 교수와 문신제 한림대강남성심병원 내분비내과 ... ...
지질자원硏 "올해 국내서 리튬 찾는다…'핵심광물 생산국'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Li Extraction) 기술'을 개발 중이다. 비증발 리튬추출기술로 기존 자연증발농축법보다 공정
시간
을 줄이고 생산량을 높인다. 지하수가 아닌 해수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해수에서 리튬 등 자원만 추출하고 물은 다시 돌려보내는 것이다. 다 쓴 폐배터리에서 리튬, 흑연 등을 추출해 재사용하는 ... ...
저출산 시대 제왕절개 수술 경험, VR로 얻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국제학술지 ‘세계외과저널’에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VR 시뮬레이션은 장소와
시간
에 구애받지 않고 일관성 있는 교육을 반복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한 의료 교육 및 훈련 도구로 부상하고 있다. 아직 산부인과 모체태아의학 분야에서는 다뤄진 사례가 없는데 연구팀이 제왕절개술에 ... ...
고대인 유골서 자가 면역질환·당뇨 치료 단서 찾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나타났다. 에스케 윌러슬레브 덴마크 코펜하겐대 동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10일(현지
시간
)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다발성 경화증과 고대인의 유전 및 건강에 관한 논문 3편을 발표했다. 자가면역질환인 다발성 경화증은 ‘엡스타인-바’라는 바이러스가 원인으로 추정된다. 이 바이러스에 ... ...
거대 유인원 멸종한 이유…친척들과 달리 환경 적응 실패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채집한 화석과 꽃가루 등을 분석해 멸종 시기와 원인을 알아낸 연구결과를 10일(현지
시간
)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는 현재까지 발견된 영장류 중 가장 큰 영장류다. 200만년 전부터 멸종할 때까지 중국 남부 지역에서 살았다. 연구팀은 기간토피테쿠스 블래키가 ... ...
뇌 속 노폐물 배출 지도 완성…치매 등 뇌질환 연구 새 이정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1.11
연구팀은 실험용 생쥐의 척수액에 형광물질을 소량 주입했다. 형광물질을 주입한 1
시간
뒤 생쥐의 두뇌를 과찰한 결과 뇌척수액은 목 안쪽 점막 내에 있는 정교한 림프관망으로 모였다. 이 림프관망의 존재는 이전까지 알려진 바 없다. 말 안장을 뒤집어놓은 모양인 비인두 림프관망에 모였던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