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처음
시초
출발
시작
원조
원시
본래
뉴스
"
최초
"(으)로 총 6,46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크리스퍼 혁명'은 지금도 진행중
2020.10.08
취임, 유전자 교정 분야의 국내외 학술 교류에 이바지하고 있다. 세계
최초
로 유전자가위의 효과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개발 2020년 올해 마크로젠 과학자상을 수상했다. 젊은 과학자상, 아산의학상, 화이자의학상, 이달의 과학인상을 받았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초파리, 다이너마이트 그리고 해커
2020.10.08
학문이 탄생하고 그 학문의 전통이 축조해낸 문화와 도덕경제를 바탕으로 구축된
최초
의 데이터베이스다. 즉 유전자은행에는 실험생물학을 기반으로 하는 연구공동체의 오래된 문화가 반영되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뜻이다. 20세기 초반 미국에서 시작된 토머스 헌트 모건의 초파리 연구공동체를 ... ...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 잊혀진 과학자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개념 동시에 제시했지만 묻혀버린 리투아니아 과학자 크리스퍼 유전자가위 개념을
최초
로 고안한 전문가 중 한 명인 비르기니우스 식스니스 리투아니아 빌니우스대 교수는 이번 노벨상 수상자 명단에서 빠졌다. 빌니우스대 제공 생명과학계의 판도를 바꾼 크리스퍼 유전자가위가 노벨상을 ... ...
크리스탈지노믹스 미국 자회사 신임사장에 신약개발 전문가 개빈 초이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항생제 등을 개발한다. 2004년 류마티스 관절염 관련 질환 단백질 구조를 세계
최초
로 규명했다. 관절염치료제 CG100648는 전 세계 17개국에 특허를 출원했다. ... ...
[과학게시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국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연구데이터' 공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0.08
년간 축적한 ‘국가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 연구데이터’를 공공데이터 포털을 통해
최초
로 개방한다고 7일 밝혔다. 이 데이터는 국가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수립에 활용되고 있는 데이터로, 신재생에너지 자원지도는 기존의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kredc.re.kr)에서 개방한 이미지 과거 데이터를 202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재종합)
2020.10.07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김진수 IBS 수석연구위원은 "유전자 가위 작동원리를
최초
로 규명한 분들로 치료제를 개발하든지 장기 이식용 기술을 개발한다든지 획기적인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
최초
원리를 규명한 사람들은 인정받아야 하고 그걸 활용해서 새로운 산업이 생길 수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샤르팡티에 교수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DNA) 교정치료다.” DNA 교정기술인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이하 크리스퍼)를 2012년
최초
로 개발해 ‘노벨상 영순위’로 불리는 에마뉘엘 샤르팡티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감염생물학과 총괄책임교수(48·독일 훔볼트대 명예교수)는 10월 13일 서울 연세대에서 본지와 단독 인터뷰를 하며 이같이 ... ...
[노벨상 수상자 과거 인터뷰]‘유전자가위’ 창시자 다우드나 교수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07
DNA를 자유자재로 끊어 유전자를 교정할 수 있는 차세대 ‘유전자가위’다. 크리스퍼를
최초
로 개발한 제니퍼 다우드나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화학과 교수는 본보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크리스퍼의 미래 잠재력이 무궁무진하다고 전망했다. 그는 “크리스퍼는 스위스 군대가 쓰는 ... ...
생명의 암호 교정하는 도구 만든 여성화학자 2명 올해 노벨화학상(종합)
2020.10.07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다. 김 교수는 "유전자 가위 작동원리를
최초
로 규명한 분들로 치료제를 개발하든지 장기 이식용 기술을 개발한다든지 획기적인 일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
최초
원리를 규명한 사람들은 인정받아야 하고 그걸 활용해서 새로운 산업이 생길 수 ... ...
현택환 교수 "한국도 노벨상 머지 않아…자율성 보장하고 꾸준히 지원해야"
2020.10.07
균일하게 합성하는 새로운 방법(승온법)과 상업적 이용이 가능한 대량합성법을
최초
로 개발해 현재 널리 사용되는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디스플레이 등의 상용화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QLED에는 크기가 2~6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나노 입자가 들어가고 여기에 자외선을 ... ...
이전
299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