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도
서울시
서울특별시
중앙
도읍
seoul
국도
d라이브러리
"
서울
"(으)로 총 5,355건 검색되었습니다.
"박테리아를 연구하는 생물공학계의 뽀빠이 박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명예교수한국과학기술원의 젊은 교수1964년
서울
에서 태어난 이상엽 박사는
서울
대학교 화학공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생물화학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어요. 그리고 29세의 나이에 한국과학기술원 조교수로 부임하게 되었지요. 1998년에는 제1회 젊은과학자상, 2000년에 ... ...
6. 평범함이 비범의 열쇠
과학동아
l
200501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사람은 전세계에 12명밖에 되지 않는다’.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이 실험적으로 검증된 직후인 1919년 11월 10일자 뉴욕타임스는 이런 내용의 기사를 보도했다. 하지만 정말 그의 이론이 너무 어려워 이를 이해한 사람이 전세계를 통틀어 12명밖에 ... ...
과학과 미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0501
와포자충에 감염되면 배가 아프고 설사를 한다.구렁이처럼 뭉친 바실러스균최기주∙
서울
보건대 중앙기기센터 연구원여러마리 구렁이가 이리저리 뒤엉켜 있는 것 같다. 구렁이 몸통의무늬처럼 보이는 막대모양 하나하나가 사실은 된장을 발효시키는데이용되는 바실러스균. 이 작품은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01
주술과 오락의 목적이 먼저였을 것으로 봅니다.”국내 양계업계의 산증인인
서울
대 동물자원과학과 오봉국 명예교수의 말이다. 오 교수에 따르면 인류가 닭을 키우게 된 것은 새벽, 일정한 시간이 되면 울어대는 닭의 습성 때문. 수탉이 자기 영역을 주장하는 행동이다.오 교수는 “선사시대 우리 ... ...
한반도도 겨울 실종
과학동아
l
200501
단 한 차례도 영하로 내려간 날이 없는 11월로 기록됐다. 12월 들어서도 20일이 돼서야
서울
이 영하 5.5℃까지 내려가는 한파(?)가 닥쳤을 뿐 늦가을 같은 날씨가 이어졌다. 한반도도 지구온난화의 예외지대는 아닌 것이다. 한반도의 겨울이 한달 이상 짧아지고 있는 등 이상기온의 징후가 이미 ... ...
소녀를 사랑한 청둥오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1
다른 가족은 거들떠보지도 않고 오로지 채원이만 따랐지요.이런 채원이의 보살핌 덕분에
서울
이라는 낯선 공간 속에서도 오리짱은 무럭무럭 잘 자라났습니다. 다행이 채원이의 집에는 작은 마당이 있어서 운동도 충분히 할 수 있었답니다.그런데 채원이의 여름 방학이 끝나자 문제가 생겼어요 ... ...
특수상대론 쉽고, 일반상대론 어려워
과학동아
l
200501
했다. 이 조사에는 모두 157명이 참가했다. 설문 문항은 과학문화진흥회 김제완 회장(
서울
대 명예교수)이 출제했다.조사 결과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99명(63%)이 ‘어느 정도 이해한다’고 밝혔다. ‘완전히 이해한다’고 답한 학생도 20명(13%)이나 됐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01
과학자와 함께 어깨를 나란히 하며 그려져 있었다.아인슈타인의 생가는 어디 있는 걸까.
서울
로 치면 명동거리처럼 보이는 ‘반호프 슈트라세’(역전거리)의 모퉁이를 돌자 햄버거 집 앞에 이상하게 생긴 조각물이 눈에 들어온다. 기둥 중에 하나를 잘 보니 “이곳에 1879년 3월 14일 세상에 태어난 ... ...
풀꽃이 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다른 별로 이주해 갔을까? 침통해 있는 벼리를 보고 선장이 위로하듯이 말했다.“그래도
서울
은 이렇게 자리라도 남아 있잖아요. 가장 격렬했던 뉴욕 쪽은 아예 땅덩어리가 패서 흔적조차 없어요. 참으로 한심하고 어리석은 사람들. 쯧쯧…”선장이 지구 사람들을 흉보자 벼리는 자기도 모르게 ... ...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23
982-84년 AT&T 벨연구소 박사후 연구원1984-86년 벨커뮤니케이션 연구소 연구원1986-현재
서울
대 물리학부 교수탄소나노튜브를 아시나요?어린이 과학동아 친구들은 10억분의 1을 뜻하는 ‘나노’라는 말을 들어 보았지요? 직접 눈으로 확인 할 수는 없지만 하여간 엄청나게 작은 무엇이라고 생각할 거예요.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