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향
사운드
음파
음성
음
목소리
말
d라이브러리
"
소리
"(으)로 총 3,360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을 좌우·상하·앞뒤에서 듣는다
과학동아
l
199009
방법으로 녹음된 코카콜라 광고용 비디오 카세트의 경우를 보자. Q사운드판을 돌리면
소리
는 마치 방의 벽을 넘어 떠돌아 다닐 것 갈다. 시청자가 눈을 감으면 스피커의 위치를 지적할 수도 없게 되는 것이다.그러나 시청자는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스피커 사이에 직접 남아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09
얼굴도 부수수해지고 텁수룩한 모습이었다. 그날 밤 그는 잠을 쫓으려는 듯 아내와 큰
소리
로 얘기하고 산책도 했으나 새벽 6시경에 마침내 잠에 떨어지고 말았다. 이처럼 '잠안자기' 실험은 늘 실패로 끝난다.그러나 잠을 안자는 행위가 정신병을 일으킨다는 속설은 아직 정설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09
명명된 이 현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변화한 파장의 비율은 속도의 광속도 (
소리
인 경우에는 음속)에 대한 비율과 같다."이 도플러의 원리는 오늘날 별이나 먼 은하의 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천문학자가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자동차의 과속을 단속하는 교통경찰관에게 요긴하게 ... ...
일관성있는 규격제정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008
확산되어 가는가 하더니 얼마 전부터 현 표준코드체계의 불합리성을 성토하는 비판의
소리
가 높아져 원점으로 다시 돌아가는 느낌이다.'표준이기 때문에 무조건 지켜야한다'는 주장과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코드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강력히 맞서고 있는 가운데 정부는 87년 제정한 KS ... ...
아기 돼지를 잘 이해하는 로봇 돼지엄마 등장
과학동아
l
199008
진짜 돼지를 그대로 흉내내고 있다. 1시간에 1회라는 주기, 빠르기가 다른 두 꿀꿀
소리
를 고스란히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그런데 더 재미있는 것은 이 로봇 '엄마'의 젖을 먹고 자란 새끼들은 자란 뒤에 여물을 좀처럼 탐내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왜 그럴까. 진짜 어미의 유선(mammary gland)에서 ... ...
국제화시대 들어선 한국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9008
일이라고 볼 때 인력양성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입니다. 우수한 과학자가 많으면 큰
소리
칠 수 있는 것 아니겠어요. 해외에 흩어져 있는 1만여명의 교포과학자들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지요. 해외과학기술교류는 결국 우리의 역량과 자세에 따라 그 결실이 나타날 것으로 ... ...
낙하속도가 질량과 무관함을 증명한 「피사의 사탑」 실험은 실제 있었을까?
과학동아
l
199008
알 수 있게 했다. 그 결과 무거운 공이 가벼운 공보다 10배 빨리 떨어지지 않고 두개의
소리
가 하나로 들릴 정도로 동시에 판위에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의 보고서도 필로포누스와 같은 결론이다. 그러나 그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주장이 틀렸다는데 주안점을 두었던 것이지 동시에 떨어진다는 ... ...
진공의 세계를 돌아본다
과학동아
l
199008
촛불은 더 빨리 꺼진다. 또
소리
는 매질이 있는 곳에서 전달되므로 진공이 되면
소리
가 전달되지 않는다. 공기는 전기의 부도체이므로 공기가 없는 진공 속에서 음극에 고전압이 걸리면 음극판을 이루고 있던 전자들이 튀어 나오게 된다.4 ③많은 업적을 남긴 갈릴레이도 이 문제를 고민하다가 결국 ... ...
비디오·오디오·TV를 통합한 멀티미디어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008
expert system)이다.이러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학습용 소프트웨어는 문자 숫자 사진 음성
소리
비디오등의 합성을 통해, 실험이나 실습 등의 직접경험학습까지도 대체할 수 있고, 피교육자 개인의 능력에 따라 진행가능하므로 충실한 개인교수 역할을 할 수 있어서 학습의 개별화를 실현할 수 있다 ... ...
컴퓨터 과학자들의 새로운 관심 「한글공학」
과학동아
l
199008
쓴 다음, 그 글자가 무엇인지 컴퓨터로 판독하는 방법이다. 음성입력은 글자를 읽으면 그
소리
의 패턴을 분석하여 어느 글자인가를 판독하는 방법이다. 스캐너 입력은 상용화되어 곧 보편화될 것이지만 필기체입력과 음성입력은 아직 미숙한 상태다. 보기 좋은 글자꼴은?컴퓨터 내부에서 한글을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