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곳"(으)로 총 10,9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즉 서로 맞닿도록 구를 촘촘하게 배열한 다음 그 위로구와 구 사이의 움푹 들어간 곳에 구를 쌓아 올려층을 만드는 겁니다. 이렇게 해야 3차원에서 공을 가장 많이 쌓을 수 있지요.378년 난제, 컴퓨터로 증명케플러의 추측이 옳다고 증명하는 일은 결코 만만치가 않았습니다. 무려 378년이나 미해결 ... ...
- [SW 기업 탐방] 라온스퀘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몇 달 전, 쇼핑몰 로비에서 친구를 기다리던 기자는 사람들이 모여 깔깔거리는 모습을 봤다. 그들은 이상하게도 허공에 팔을 휘저었다…. 가까이 가 보니 높이 설치된 ... 즐거워할 때 에너지가 솟는다”고 말했다. 앞으로 그와 라온스퀘어가 만들 즐거운 세상은 어떤 곳일지 기대가 된다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 연구팀은 3D 프린터를 활용해 오가노이드가 잘 자랄 수 있는 생체반응로를 만들었다. 이곳에 줄기세포로 작은 뇌 조직을 만드는 데 성공했고, 조직이 완전한 성체로 자라는 동안 바이러스에 감염시켰다. 그 결과 지카바이러스에 감염된 오가노이드는 정상보다 뉴런을 적게 만들었고 조직의 크기도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시작한다. 그리고 1차 파손 이후에도 충격 에너지가 남았다면 타격 지점에서 약간 떨어진 곳에 또다른 장력이 발생해 그 부근에 동심원 골절이 발생한다(그림➋). 이 때 동심원의 크기는 뼈의 강도나 구조 혹은 충격을 가한 물체의 방향과 속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개 뼈를 타격한 물체의 ... ...
- [Photo] 침철석(Goethite) 괴테에게 헌정된 광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아름답고 다양한 수집용 광물이 나는 산지로, 광물 수집가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곳이기도 하다.예술작품이나 보석 등은 누가 소유했는지에 따라 그 가치 평가가 크게 달라진다. 미술품의 경우 유명인사가 특정 작가의 작품을 구입하면 바로 그 작가에 대한 평가가 바뀐다. 2009년 스위스의 바젤 미술 ... ...
- [Career] 사람이 만드는 도시, 도시가 만드는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권영상 주변에 애착이 많은 학생들이 잘 맞을 것 같습니다. 내가 살고 있는 곳이 어떤 곳인지, 길은 어떻게 나있고, 가로등은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 어떤 불편함이 있고, 어떻게 고칠 수 있을지 등을 꾸준히 고민하는 학생에게 적격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또 이쪽에 관심이 있는 학생이라면 평소에 SF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수 있어요. ‘세상에서 가장 정밀한 자’인 셈이에요.라이고는 두 개의 터널이 맞닿은 곳에서 양쪽 터널의 끝을 향해 동시에 레이저 빛을 쏘아요. 그러면 빛이 터널 끝에 있는 거울에 반사돼 다시 되돌아오지요. 이렇게 빛이 되돌아오는 시간을 계속해서 측정해요. 평소에는 두 터널을 지나온 빛의 ... ...
- [지식] 매운맛 커리를 만드는 황금비 0.4초, 50도, 5:4:9수학동아 l2016년 06호
- 한다. 마지막으로 상대편이 파울을 하면, 수비수 없이 골대 밑에서 5.8m 떨어진 곳에서 공을 던질 기회를 얻는데, 이것을 자유투라고 하고 성공하면 1점을 얻는다.180클럽은 한 시즌 동안 필드골 성공률 50%, 3점 슛 성공률 40%, 자유투 성공률 90% 이상을 모두 달성한 선수가 가입할 수 있는 클럽이다. 세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 ...
- [과학뉴스]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깊은 곳까지 침투한다고 알려진 미세먼지가 실제로 건강에 얼마나 해로운지 정량화한 결과가 나왔다. 홍콩대 웡 칫밍 교수팀은 홍콩에서 10~13년 이상 동안 거주한 65세 이상 노인 6만 6000명의 암 발병률과 지름 2.5μm 이하 초미세먼지(PM2.5)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분석 결과, 미세먼지가 10μg/m3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