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눈"(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우리 눈은 이것을 전혀 구분하지 못합니다. 아직은 1차 버전인데, 차차 눈 알갱이를 뭉친 눈사람, 수증기 입자가 모인 구름, 설탕으로 지은 집으로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할 예정입니다 ... ...
- 눈에 보이는 양자세계,초전도 현상과학동아 l2015년 12호
- 미국의 물리학자 리언 쿠퍼의 이름을 따 ‘쿠퍼짝’이라고 부른다. 이제 초전도현상이 눈에 보이는 거시적인 양자 현상인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엄청나게 많은 전자들이 쿠퍼짝을 이뤄 하나같이 바닥상태에 모여 있기 때문이다.STEP BY STEP뚫고 지나가면 계단이 보인다양자역학의 세계에서는 ... ...
- 자세히 보면 더 예쁘다! 아주 작은 동물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2호
- 1~2mm의 진딧물은 맨눈으로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아주 작아요. 이렇게 작은 동물들의 눈과 입까지 선명하게 보이는 사진을 찍기 위해서는 매크로렌즈가 반드시 필요해요.매크로렌즈는 아주 가까운 거리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카메라 렌즈로, 접사렌즈라고도 불러요. 촬영 대상을 최대한 가까운 ... ...
- 바이러스수학동아 l2015년 12호
- 작은지 보통 현미경으로는 관찰할 수조차 없다. 바이러스의 크기는 1m를 10억 분의 1로 나눈 단위인 ‘나노미터(nm)’로 나타낸다. 종류에 따라 수십에서 수백 나노미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발견된 판도라 바이러스(1000nm)나 피소 바이러스(1500nm)처럼 큰 바이러스도 있다.보통 바이러스를 ... ...
-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수학동아 l2015년 12호
- 놀이‘처럼 물리학·수학 용어를 제목으로 한 곡이 있다. 사랑이나 추억, 운명 등은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밝히는 일이 불가능하겠지만, 일반인에게 어려울 수도 있는 용어를 이용해 추상적인 개념을 노래했다는 점이 무척 흥미롭다.사진 및 가사 : 에이팝엔터테인먼트 논문 및 ... ...
- #캣스타그램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연구원은 “이런 형질은 야생에서라면 자연도태 됐겠지만, 귀여운 것을 좋아하는 인간의 눈에 띄면서 애완동물로 입지를 다지게 됐다”고 말했습니다.[스코틀랜드 들고양이 “지금 당장 먹을 것을 내놓지 않으면 죽여버리겠다!”(사실은 하품?ㅋㅋ) ... ...
- [인류, 지구를 먹어치우다 냉장고로 부족해?] Part 1. 전세계는 얼마나 먹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00의 냉장고를 공개합니다!” (일동, 눈이 휘둥그래진다) “우와~, 이렇게 큰 냉장고가 꽉꽉 차 있네요. 훌륭합니다~!” 언제부터였을까. 900L에 달하는 냉장고가 가득 차 있는 게 미덕이 된 것은. 유엔 식량농업기구(FAO)가 집계한 2010년 전세계에 공급된 식품 무게의 총합은 9,191,196,555,310kg. 삼시 세끼에 ...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벼가 나온다. 4만 개 유전자를 다 건드려 놓기 때문. 이 과장은 “여기서 육종가의 눈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육종가가 2만 개 이상의 수많은 돌연변이 벼 중에서 팔 수 있을 만한 걸 골라냅니다. 예컨대, 소화가 잘 안 되는 전분이 10% 이상 함유된 돌연변이 벼를 발견해 다이어트 쌀이라고 이름을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부모님이 들어와서 잔소리를하고 사라졌을 때를 떠올려 보자. 공부를 하려던 마음은 눈 녹듯 사라지고 ‘왜 하필 이때 들어와서…’라는 생각이 들며 공부하려는 마음이 싹 사라진다. 이처럼 우리는 자율성이 침해당했을 때를 잘 견디지 못한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주고 싶으면 그 사람이 나의 ... ...
- [상수의 탄생10] 고전물리학의 균열을 메운 보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양자역학적 입자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기 힘들다. 빛을 보는 동안, 우리의 눈으로 수많은 빛알이 계속 쏟아져 들어오기 때문이다. 간단한 계산을 해보자. 생산이 일부 금지된 백열전구는 에너지 효율이 2%정도로 아주 낮다. 소비전력 100W인 백열전구가 빛으로 바꾸는 에너지가 불과 2W에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