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도시 개구리가 숲 개구리보다 인기가 많은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위험해. 우리의 위치가 노출돼 포식자에게 잡아먹힐 수 있기 때문이야. 2006년 미국 텍사스
대학
교 라이언 박사 연구팀은 우리의 천적인 박쥐나 흡혈 파리도 ‘크릭’ 소리를 듣고 우리를 찾아낸다는 연구를 발표했어. 다행히 도시에는 천적이 많지 않아. 일리 : 숲으로 돌아가면 ‘크릭’ 소리를 줄일 ... ...
Part 3. 변신 3- 누가 돼지를 둔하다고 했나 감각적인 돼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돼지들은 뛰어난 감각으로 사람들을 돕기도 해. 사람들은 우릴 보고 둔하다고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단다. 우리의 감각이 얼마나 예민한데! 돼지가 땅 속의 송로버섯 찾는다! 송로버섯은 다른 버섯과 다른 특유의 향 때문에 세계적으로 귀한 음식으로 꼽혀요. 그런데 이 향 때문에 아주 오래전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추락 사고는 영화에 종종 등장하는 장면 중 하나예요. 2015년 미국 메사추세츠공과
대학
교(MIT) 의공학 센터에서는 엘리베이터의 모든 안전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은 아주 불운한 경우에 생존율을 높이는 최선의 대처방법을 발표했어요. 우선, 추락하는 순간에 맞춰 살짝 뛰어오르려는 생각은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CEO는 “어릴 때부터 ‘스타워즈’를 굉장히 좋아한 ‘우주 덕후’였다”며 “
대학
에서 우주공학을 전공한 뒤 우주기술을 상업화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던 중 요시다 교수의 달 탐사 로버 개발 계획을 듣고 아이스페이스 창업을 결심했다”고 말했다. 아이스페이스는 루나 X프라이즈 종료 이후 ... ...
[Tech] 만능 스포츠 로봇을 만들어라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깎듯 쉽게 깎아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어지는 게 너무나 신기했다”고 말했다. 자연스레
대학
에서 기계공학을 전공한 그는 졸업 이후 한 대기업 연구소에서 탱크와 장갑차를 설계했다. 하지만 로봇을 만들겠다던 어린 시절 꿈이 내내 마음 한 구석을 차지하고 있었다. 결국 그는 꿈을 이루러 ... ...
안양 백영고 이정수 양 “문제는 배신하지 않아요”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중단해야 했는데, 너무 아쉬웠다”고 덧붙였다. 앞으로 이 양은 서울대를 제외한 다른
대학
의 의대 여러 곳에 지원할 계획이다. 이 양의 언니는 이미 의대에 18학번으로 입학했다. 이 양도 의대 진학이 확정되면 ‘자매 의사’의 꿈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 양은 “의대에 합격한다면 언니와 함께 ... ...
[서울대 공대|재료공학부] 현대판 연금술사 키운다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새벽 내내 수다도 떨면서 스트레스를 풀었다. 하 씨는 “친구들과 서로 열심히 해서 좋은
대학
가자고 응원했는데, 심리적인 부분에서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말했다. 2017년은 포항 지진 때문에 수능이 연기되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해였다. 포항과 가까운 대구에 있던 하 씨도 독서실 조명이 ... ...
Intro. 소수가 만든 최고의 마법 리만 가설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소수는 모든 수를 만들어내는 마법을 부린다” 1과 자기 자신 외에는 어떤 수로도 나뉘지 않는 소수. 문명이 시작될 무렵부터 인류는 소수가 만드는 마법에 빠져들었습니다. 당대 가장 뛰어난 학자들이 소수가 만드는 보물을 찾기 위해 바통을 이어가며 탐험에 나섰지요. 그리고 1859년, 독일 수 ... ...
Part 3. 22년 동안 리만 가설에 도전한 수학자 이야기
수학동아
l
2019년 01호
그래서인지 지금은 리만 가설에 도전하는 수학자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기하서 연세
대학
교 수학과 교수는 무려 22년째 리만 가설을 풀기 위해 고군분투하고 있습니다. “리만 가설 연구를 처음 시작한 게 1997년 8월이었어요. 벌써 22년이 됐네요.” 기하서 교수가 리만 가설을 본격적으로 ... ...
Part 1. 몸풀기 게임 진실 혹은 거짓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지구의 야간 생태계를 위협할 수 있다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어요. 이에 중국 하얼빈공학
대학
교 강 웨이민 교수는 “노을빛 정도의 부드러운 빛이기 때문에 생태계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답니다. ● 답 : 모두 진실 ... ...
이전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