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새로운"(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전히 새로운 인간은 만들지 못했다.100년이 흐른 지금, 기술의 발달은 다시금 본래의 욕망을 향한다. 생명공학, 로봇공학, 인공지능, IT 등이 융합하면서 기계의 인간화가 아닌, ‘인간의 기계화’가 진행되고 있다. 우리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자유로우면서도, 인간과 다른 존재들이 공동으로 번영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적 문법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적 적용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하지 않으면서, 거기에서 파생되는 해로운 결과에 대한 무지나 무책임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 ...
- [수학뉴스] 이제는 함께 토론하며 수학 공부하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세계 곳곳의 학회에 참석하며 다른 수학자를 만나 학문적 시야를 넓히기도 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기도 합니다. 이처럼 수학은 여러 사람이 함께 연구하고 공부할 때 더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습니다.그동안은 수학자들처럼 친구들과 함께 수학을 고민해 볼 수 있는 기회가 적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 ...
- [인터뷰] 젊은 수학자를 만나다 서재홍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왜 이런 과정이 들어가게 된 걸까, 어떤 원리일까 끊임없이 생각했죠. 잘 풀리지 않는 새로운 문제가 생기면, 생각할 거리가 생긴 것 자체로 좋았어요. 문제는 못 풀어도 상관없었죠. 생각해 보는게 재밌으니까요. 그리고 계속 생각만 하다가 한두달 뒤에 갑자기 해결하기도 했어요.마지막으로, ... ...
- [과학뉴스] ‘미세먼지가 암 유발’ 숫자로 증명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연구원은 “미세먼지는 DNA 복구 기능을 손상시키고 면역 반응을 망가뜨리며, 그 결과, 새로운 혈관의 성장이 촉진돼 종양이 쉽게 퍼지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장기간 미세먼지에 노출되는 것이 심폐기관 암 발병의 주요 원인”이라고 덧붙였다. 연구결과는 ‘암 역학, 생체지표와 예방’ 5월 ... ...
- [News & Issue] 가습기 살균제 사태, 노출계수를 따져라과학동아 l2016년 06호
- 14년 발표한 ‘생활화학용품 함유 유해화학물질 노출평가를 위한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새로운 제형일 경우에는 노출 평가를 추가로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향초나 겔 형태의 제품은 국내외적으로 분석방법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밀한 노출 평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노출계수와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모든 살아있는 영장류들은 살벌한 생존게임의 최종 승자다. 이들은 지금도 계속해서 새로운 도전자들을 상대로 치열하게 방어전을 펼치고 있는 위대한 존재다. 먹이를 둘러싼 이들의 고도의 차별화 전략은, 오늘날 자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총성 없는 전쟁을 벌이는 우리 인간에게도 훌륭한 ... ...
- Part 3 "취업로봇 수술 하고 싶은 나, 비정상인가요?"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있고 외형이 유사한 쌍둥이라 하더라도 C를 A로 볼 수는 없다. 또한 A가 자신의 뇌 정보를 새로운 육체에 이식한 것이라고 보더라도 이를 A로 볼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C의 주장은 부당하고, C에게 노벨물리학상 시상을 거부한 노벨 재단의 조치는 정당하므로 C의 청구를 기각한다. ▼관련기사를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방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그로부터 약 10년이 흐른 지난 1월, 미국 천문학자들은 아홉 번째 행성으로 추정되는 새로운 행성을 찾았다.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지질·행성학과의 콘스탄틴 바티진과 마이클 브라운 박사팀은 태양으로부터 해왕성보다 20배나 더 먼 곳에 있는 행성 ‘플래닛 나인’을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 ...
이전300301302303304305306307308 다음